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고대의 '명(名)'과 '자(字)'

by 중은우시 2019. 8. 25.

글: 고건가원(古建家園)


명자(名字, 중국에서는 '이름'이라는 뜻으로 쓰임)는 개인의 부호표시이다. 사람과 사람간에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쓰는 칭호이다. '명자'는 대부분 간단하다. '성(姓)'과 '명(名)'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성'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고, 혈연관계를 나타낸다. '명'은 왕왕 어른의 절실한 희망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중국고대에 '명'과 '자'는 나뉘어 사용되었다. 고대의 '명'은 현재 우리가 통상적으로 말하는 아명에 상당한다. 고대의 '자'야말로 오늘날의 '성명'가운데 '명'에 해당한다.


고대인들은 왜 '자'를 취했을까?


고대인들은 선비이거나 혹은 돈이 있는 사람은 모두 '자'가 있었다. 보통백성들은 일반적으로 이런 것을 신경쓰지 않았다.


서주(西周)시기에, <예기.단궁>을 보면, "유명(幼名), 관자(冠字)"라고 하고 있다. 즉, 서주의 예제에서 아이가 출생한지 3개월이 지나면 부모는 아이에게 '명'을 붙여준다. 그리고 남자가 스무살이 되여 관례(冠禮)를 치르고 나면, 혹은 여자가 15세가 되어 계례(筓禮)를 치르고 나면(관은 모자이고, 계는 비녀이다), 부모는 그들에게 '자'를 지어주게 된다.


이것은 무엇때문인가? 어렸을 때 부르는 '명'은 공공의 장소에서 부르기는 부적절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존중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동년배나 후배들이 부르기 쉬운 칭호를 새로 짓는데 그것이 바로 '자'이다. '자'를 지었다는 것은 어른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진정령(陳情令)>에서 샤오잔(肖戰)과 왕이보(王一博)이 연기한 두 남자주인공중 하나는 성이 위(魏)이고 명은 영(嬰), 자는 무선(無羨)이며, 다른  하나는 성이 남(藍)이고 명은 담(湛)이며, 자는 망기(忘機)이다.


그 중, 대부분의 다른 조역들이 주인공을 부를 때 위무선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일부분의 사람들 예를 들어 남방기같은 경우에는 주인공을 위영이라고 부른다.


많은 시청자들은 이런 류의 고대드라마를 볼 때, 도대체 어찌된 건지 어리둥절할 수도 있다. 왜 고대인들은 누구는 직접 명을으로부르고, 어떤 사람은 자로 부르는가? 어떤 상황하에서 상대방의 '명'을 부르고 어떤 상황하에서 상대방의 '자'를 부르는가?


명과 자는 쓰임이 전혀 다르다.


고대는 특히 예의를 중시했다. 사람의 명, 자에 대하여 칭호를 아주 많이 따졌다. '명'과 '자'는 비록 모두 한 사람에 대한 칭호이지만, 쓰임은 크게 달랐다.


고대의 칭호예의에 따르면, 스스로를 칭할 때는 '명'으로 칭해야 한다. 다른 사람을 부를 때는 '자'로 불러야 한다. 이것이 기본예절이다.


'명'은 통상적으로 윗사람, 상사 혹은 아주 친밀한 동년배만이 부를 수 있다. '자'는 동년배가 서로 부르는 것으로 상대방에 대한 존경과 친절함을 나타낸다.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부를 때는 상대방의 '자'로 불러야 한다. '명'으로 부를 수는 없다. 그렇지 않으면 크게 불경한 짓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고대에 다른 사람의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은 일종의 불경과 무례에 해당하는행위이다.


고대인들은 '명'과 '자'를 취할 때, '명'과 '자'의 사이에 일정한 의미상의 연계를 두도록 해서, 서로 보완하고, 서로 받쳐주도록 했다. 예를 들어,


굴원(屈原)의 이름은 평(平)이고 자는 원(原)인데, 평과 원은 두 글자가 서로 연결된다. 공융(孔融)은 자가 문거(文擧)인데, 융이라는 명은 '융회관통(融會貫通)을 의미하고, 문거라는 자는 문장으로 일거에 명성을 떨친다는 것이다. 백거이(白居易)의 자는 낙천(樂天)인데, 낙천과 거이는 서로 보완되는 말이다.


'명'과 '자' 이외에 고대인들은 왕왕 '호(號)'도 가졌다. 호는 한 사람의 별칭(別稱), 별호(別號)이다. 고대중국에서, 명은 대부분 집안의 어른이 짓지만, 호는 다르다. 호는 처음에 스스로 지었다. 그래서 자호(自號)라고 부르는 것이다.


나중에 점점 다른 사람이 호를 지어주는 경우가 생겼는데, 그것은 존호(尊號)나 아호(雅號)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시선 이백(李白)의 자는 태백(太白)이고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다. 별호는 문인들 사이에 비교적 유행했다.


'자'의 소실


'자'가 사라지게 된 것은 편리한 것 이이에 사회계급의 변화와도 일정한 관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고인들중 '자'를 취할 수 있는 사람은 모두 '사(士)'였다. 즉 봉건사회의 전통 지식인이다.


신해혁명이후, 과거제도가 폐지되고, 일부 선진적인 사상을 지닌 사람들은 '일명주의(一名主意)'를 제창한다. 명과 자는 점점 하나로 합쳐지고, 사람들은 '명'만 가지고 더 이상 '자'를 취하지 않았다. 신중국이 1949년에 성립된 후, 국가는 인구통계를 위하여 그리고 인구조사의 편의를 위하여 '자'를 취소한다.


중국은 자고이래로 예의지국이다. 수천년동안 찬란한 문화를 만들어 왔다. 칭호에 있어서도 따지는 예의범절이 많았고, 이를 통해 수많은 풍부하고 다양한 사람들간의 칭호가 나타났다. 이는 배우고 분석해볼만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