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당서31

[황자쟁위술] 여인노선술(女人路線術) 파결총희패(巴結寵姬牌) 이건성편 이건성, 이세민, 이원길 형제는 부친인 당고조 이연의 영도하에 힘을 합쳐서 천하를 얻는데 성공한다. 그 후에는 형제들간에 대당천자를 누가 차지하느냐를 놓고 다투게 된다. 이들은 모두 부친 당고조 이연이 총애하는 여인의 말이라면 잘 들어준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이연이 총애하.. 2015. 10. 11.
유문정(劉文靜) vs 배적(裴寂): 당나라초기 권신간의 권력다툼 글: 종승호(宗承灝) 수나라 말기, 당국공(唐國公) 이연(李淵)은 태원(太原)의 최고군사 및 행정장관을 맡고 있었다. 바로 이 때, 그는 배적과 유문정을 알게 된다. 배적은 당시에 조정이 지방에 파견한 재무주관이었고, 주로 물자조달업무를 맡아서 실권이 있었다. 이연은 사람을 아주 잘 .. 2015. 6. 16.
영무즉위(靈武即位): 정교하게 포장된 황위찬탈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안사의 난(安史之亂)이 발발한 후, 낙양, 장안이 차례로 무너지고, 당현종은 황급히 "행촉(幸蜀, 촉 즉 사천으로 행차하다)". 장안을 떠나서, 태자 이형이 영무에서 즉위한 것을 알고 스스로 황위를 물려줄 때까지, 당현종은 계속 대당정부의 유일하고 합법적인 '장.. 2015. 2. 24.
무측천이 황제로 가는 길의 가장 위험했던 순간은? 글: 복녕객(福寧客) 무측천은 어려서부터 미인이었다. 부친 무사확은 목재상인으로 반수(反隋)에 공이 있고 정치적업적이 있는 고위관리이다. 그러나 그런 출신이라 하더라도, 무측천이 황실국친의 울타리안으로 끼어들어가서, 황비, 황후가 되고 황제에 오른다는 것은 거의 완성하기 불.. 2015. 2. 10.
무측천은 정말 자신의 친 딸을 죽였을까? 글: 위석아(危石兒) 안정사공주(安定思公主)는 역사상 사료에 기록이 있는 가장 단명한 공주이다. 그녀는 당고종 이치와 무측천의 사이에 태어난 딸이다. 출생한 후 한달만에 요절하니, 그녀는 정치투쟁의 희생품이다. 그녀가 어떻게 죽었는지는 아직까지 정설이 없다. 대다수의 사람은 .. 2015. 2. 10.
무측천은 왜 이씨에게 천하를 돌려주었는가? 글: 위석아(危石兒) 재초2년(690년) 구월 초구일, 많은 여론조작을 통하여 분위기를 형성한 후에, 무측천은 백관과 황실, 종실인척등 육만여명이 보는 가운데 황제의 보좌에 오른다. "신성황제"라 칭하며, 국호를 당(唐)에서 주(周)로 바꾸여 이당의 황권을 끝이 난다. 그리고 이현은 황위후.. 2015.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