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무제17 자이모귀(子以母貴): 넷째아들인 유장(劉莊)은 어떻게 황제에 올랐는가?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한명제(漢明帝) 유장은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의 넷째아들이다. 그의 위로는 장남 유강(劉疆)이 있다. 유장은 신야(新野)의 음려화(陰麗華)가 낳은 아들이고, 유강은 정공왕(定恭王)의 외손녀인 곽성통(郭聖通)이 낳은 아들이다. 이 두 여인의 사이에, 유수가 더.. 2018. 1. 19. [황자쟁위술] 양차동풍술(亮借東風術) 주차보수패(丟車保帥牌) 유강편외 고수들이 장기를 둘 때, 차(車)의 득실은 전체 판의 승부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상대방의 말들이 장(將, 중국장기에서는 帥)을 공격하여 위기에 빠지게 되면, 진정한 고수라면 차를 버려서 장을 구한다. 왜냐하면, 이렇게 해서 목숨을 부지해야 나중에 승리를 거둘 희망을 남길 수 있기.. 2015. 10. 11. 유황숙(劉皇叔)의 신세내력 글: 마백용(馬伯庸) <삼국연의>의 첫부분 제1회에 유비가 등장하면서 자신은 한실종친이라고 내세운다: "중산정왕(中山靖王) 유승(劉勝)의 후손으로, 한경제(漢景帝) 각하의 현손(玄孫)으로 성은 유(劉)이고 이름은 비(備)이며, 자는 현덕(玄德)이다." 이 부분은 정사(正史)의 기재에 부.. 2014. 8. 26. 동영(董永)과 칠선녀의 "4가지 문제" 글: 예방육(倪方六) 2013년 8월 13일은 음력으로 칠월 칠일이다. 중국전통의 "칠석"날이다. "견우직녀(牽牛織女, 중국에서는 牛郞織女라 부름)"과 "칠선녀하범(七仙女下凡)"의 두 사랑이야기는 칠석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고대의 '발렌타인데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칠선.. 2013. 9. 14. 중국고대 유언비어역사상의 "4대발명" 글: 조염(趙炎) 유언비어에도 역사가 있는가? 당연히 있다. 그리고 이천여년이나 된다. 연원이 길다고 말할 수 있다. 유언비어에는 유언비어 만들기와 퍼트리기가 있다. 중국고인들은 유언비어를 만드는 것을 "요(謠)"라고 불렀고, 유언비어를 전파하는 것을 "착(諑)"이라고 불렀다. 합.. 2013. 7. 12. 경시제(更始帝) 유현(劉玄) 글: 몽고창랑(蒙古蒼狼) 유현(劉玄)은 원래 망명객이다. 유현의 동생이 다른 사람에게 피살당한다. 유현은 복수를 하고 싶었는데, 그 자신은 무공이 없었다. 그래서 협객을 사귄다. 그러나 사람을 잘못만나서, 그 협객은 그를 위해서 복수를 해주지 않았을 뿐아니라, 죄를 범하여 유현까지.. 2013. 4. 1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