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우126

주유(周瑜): 그를 폄훼한 것은 나관중이 아니다. 글: 채휘(蔡輝) "주유는 분노가 가슴에 가득 찼고, 말에서 떨어진다. 좌우는 급히 그를 구해서 배로 돌아온다. 그때 병사가 와서 전하기를 현덕, 공명이 산꼭대기에서 술을 마시면서 음악을 즐기고 있습니다'라고 말한다...(주유는) 장탄식을 하고, 좌우에게 붓과 종이를 가져오게 하여 오후(吳侯)에게 글을 쓴다. 그리고 여러 장수를 불러서 말하기를, '내가 진충보국하고 싶지 않은 것이 아니라, 하늘이 나에게 준 명이 다했다. 그대들은 오후를 잘 모셔서 대업을 함께 이루도록 하라!" 말을 마치고 혼절한다. 그리고 서서히 깨어나더니 하늘을 우러러 장탄식을 하며 말한다: "어찌 나 주유를 낳고, 다시 제갈량을 낳으셨습니까' 몇번 소리를 지르고는 사망한다. 나이 36세이다." 제36회 에 이 묘사는 너무나 생생하다.. 2020. 9. 27.
관우의 딸은 결국 누구에게 시집갔을까? 글: 지역사(知歷史) 사서에 이름을 남긴 여성은 아주 적다. 관우의 딸도 예외는 아니다. 이름을 남기지 못했다. 건안24년(219년), 관우는 형주를 잃고, 아들 관평(關平)과 함게 오나라장수에 붙잡혀 살해된다. 그를 따라 도망쳤던 나머지 가족(그의 딸을 포함해서)의 행방에 대하여는 아무런 기록도 남기지 않았다. 진수의 기록에 따르면, 관우에게는 아들 관흥(關興)이 있고, 그가 관우의 작위를 승계했다. 추측하건데 그는 나이가 어려서 성도(成都)에 남아 있었던 것같다. 그래서 부친과 함께 겁난을 당하지 앟은 것이다. 당연히 이렇게 추측할 수도 잇다. 아이는 전란중에 적의 눈에 잘 띄지 않아서, 쉽게 도망칠 수 있었다고. 그러나 어떻게 추측하든간에 관흥은 사서에 기록된 유일하게 살아남은 관우의 아들이다. 민.. 2020. 9. 4.
정사(正史)기록상 관우가 죽인 장수는 단 두명이다. 글: 정회역사(情懷歷史) 유명소설 에서 작자 나관중(羅貫中)은 관우를 충의인용(忠義仁勇)의 청룡언월도를 든 무장의 이미지로 그렸다. 고대위맹(高大威猛)하며 무예가 비범하다. 첫부분에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하고, 병기를 만든 후 황건적의 난을 평정하는 전쟁에 참가한다. 18로제후가 동탁을 토벌할 때, 관우는 온주화참웅(溫酒斬華雄)하고, 삼영전여포(三英戰呂布)한다. 유비가 서주에서 패전하고나서는 세 가지 일을 약속받고 항한불항조(降漢不降曹)한다. 조조를 위하여 백마의 포위를 해결해주고, 안량, 문추를 참한다. 유비의 행방을 알고난 후에는 천리주단기(千里走單騎)로 과오관참육장(過五關斬六將)한다. 채양(蔡陽)을 죽이고, 고성에서 삼형제가 다시 만난다. 적벽대전때는 화용도(華容道)에서 차마 조조를 죽이지 못하.. 2020. 6. 30.
촉(蜀)이 멸망한 후 관우의 후손은 모두 죽임을 당하고, 장비의 후손은 살아남았던 이유는...? 글: 원재예(袁載譽) 에서 주유(周瑜)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유비는 효웅의 모습이고, 관우, 장비와 같은 곰,호랑이같은 장수를 가지고 있어, 절대로 오랫동안 남의 밑에 있지 않을 것이다." 관우와 장비는 유비의 결의형제이다. 형님인 유비를 도와 강산을 취할 때, 관우는 적인 오나라군에 의해 살해당한다. 유비가 죽은 후, 관우의 처와 자식은 모조리 원수의 아들인 방회(龐會)에게 살해당하고, 멸문당한다. 그러나 장비는 건안24년에 죽었고, 둘째형인 관우가 죽은후 그리 오래지나지 않아서였다. 그러나 그의 후손은 관우처럼 참혹하게 죽임을 당하지 않았다. 같은 지위, 같은 처지인데 왜 그의 가족들은 무사할 수 있었을까? 관우는 용맹하고 싸움을 잘했던 인물이다. 큰형 유비도 그를 중용했다. 촉의 대업을 위.. 2020. 6. 17.
유비는 익주(益州)를 취한 후 한중(漢中)을 형주(荊州)보다 중시했다. 글: 지역사(知歷史) 유비는 214년 익주를 취한다. 그후 215년 제1차 형주위기가 발생한다. 즉 손권이 유비에게 형주를 돌려달라고 한 것이다. 당시 조조는 한중의 장로(張魯)에 군사행동을 취한다. 유비는 익주에 무슨 일이 일어날까 우려하여, 동오의 요구를 받아들여 형주를 재분배하고, .. 2020. 4. 2.
삼국시대 가장 광망(狂妄)한 6 마디의 말: 조조, 관우, 전위 글: 전복역사(顚覆歷史) 자고영웅출아배(自古英雄出我輩) 융중결책천하분(隆中決策天下分) 다소고금쟁패사(多少古今爭覇史) 난평청사삼국쟁(難平靑史三國爭) 이 가사는 삼국의 광망과 패기를 아주 잘 보여준다. 그러나, 가장 광망한 것은 삼국에 나오는 이 몇 마디 말일 것이다. 첫째는 .. 2020.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