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친왕28 함풍제는 임종전 십일간 권력분배방안을 어떻게 설계했는가? 글: 역사상나사사(歷史上那些事) 황위계승자문제에 대하여는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 왜냐하면 함풍제는 아들이 하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즉, 서태후(자희태후)가 낳은 재순(즉, 나중의 동치제)뿐이다. 그러므로, 옹정제때 만든 비밀건저(秘密建儲)도 실시할 필요성과 가능성이 없었다. .. 2012. 9. 18. 청나라 황실의 후손들 글: 마용(馬勇) <황실우대조례>에 따르면, 중화민국정권은 대청국이 계속 존재하는 것에 동의했고, 북경의 황궁에 거주하도록 해주었다. 그래서 중화민국시대에 들어선 후 중국에는 이런 풍경이 벌어진다: 민국정치가들은 혹은 의회에서 평화논쟁을 벌이거나, 혹은 전쟁터에서 계속 .. 2012. 7. 12. 서태후가 47년간이나 중국을 통치한 원인은? 글: 왕개새(王開璽) 1861년 11월, 서태후가 공친왕 혁흔과 연합하여 신유정변을 일으킨 때로부터 3번의 수렴청정을 거쳐 1908년 사망할 때까지, 서태후는 중국을 47년간이나 통치했다. 사람들은 대부분 이것은 서태후가 정치권모술수에 능하여, 음험하고 독랄한 독특한 정치수완을 지니고 있.. 2012. 6. 6. 서태후와 영록(榮祿) 글: 장영구(張永久) 서태후에 관한 야사와 소문들 중에서 가장 대담하고 가장 향염(香艶)한 것은 서태후와 영록의 신비한 관계에 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덕령공주(德齡公主)라는 청나라말기 여자가 쓴 일련의 청나라궁중 및 서태후에 대한 야사저작이 항간에서 유행하고 있다. 덕령은 .. 2011. 4. 6. 영수공주(榮壽公主): 중국의 마지막 공주 작자: 미상 고륜영수공주(固倫榮壽公主, 1854-1924)는 도광제의 여섯째 아들 공친왕(恭親王)의 장녀이다. 함풍4년 이월 초이틀(1854년 2월 28일) 사시(巳時)에 적푸진(嫡福晉, 정실부인) 과얼자(瓜爾佳)씨에게서 태어났다. 함풍11년 십이월초아흐레(1862년 1월 8일), 양궁황태후(동태후, 서태후)는 .. 2010. 4. 13. 청나라말기의 영국인들 글: 설이(雪珥) "대청국의 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영제국은 힘을 아끼지 말고 대청국이 전면적인 개혁을 진행하도록 도와야 하고, 대청제국이 모든 반란을 진압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중국의 안정을 유지하고, 중국유럽의 무역을 추진하는 것이 대영제국의 최대이익에 부합한다. 영국의 대.. 2010. 2. 2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