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자66

"만한불통혼(滿漢不通婚)" 글: 살사(薩沙) 청나라는 약사상 민족압박정책을 진행했다. 여기에는 다툼이 없다. 가장 현저한 즈거는 바로 통치자가 규정한 '만한불통혼'즉 만주족과 한족은 혼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정책은 200년간 실행되다가 1902년에 비로소 폐지된다. 1902년 1월 31일, 광서제는 '만한불통혼'의 금.. 2019. 2. 1.
중국제일가족: 2천년간 이어내려온 공자후손 글: 최애역사(最愛歷史) 1 1920년 2월 23일, 곧 태어날 영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체 곡부(曲阜)는 임전태세였다. 이전 3개월, 공자의 제76대적손이자 동시에 제30대 연성공(衍聖公) 공령이(孔令貽, 1872-1919)가 돌연 북경에서 사망했다. 향년 47세였다. 복송때부터 세습하여 '연성공'을 맡아온 .. 2019. 1. 17.
한족의 이민족에 대한 호칭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글: 자주군(煮酒君) 부지불식간에 발견한 것이 있다. 한족의 이민족에 대한 칭호도 재미있는 변화과정을 거쳤다는 것이다. 포폄(褒貶)간에 역사의 궤적을 따라가면 한족의 심리가 바뀌어왔음을 알 수 있다. 최초에 한족은 이민족을 극단적으로 차별했다. 한 마디로 말해서 사람으로 보지 .. 2018. 12. 12.
강희제는 왜 로마교황과 결렬하였는가? 글: 개풍문사(凱風文史) 강희60년(1721년) 11월, 강희제는 금교령(禁敎令)을 내린다. 여기서 금지하는 종교는 바로 '천주교'이다. 이때부터 2백년강 이어지는 '예의지쟁(禮儀之爭)'이 정식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 분쟁을 일으킨 사람은 중국인이 아니라, 천주교 로마교황청이었다. 드라마 &l.. 2018. 12. 1.
명망청흥(明亡淸興)(1) - <달단전기(鞑靼電記)> 글: 경화연운(京華煙雲) 이야기의 시작은 전원시같은 낙원을 방불케 한다: "사람들의 생존과 행복에 필요한 물건을 위하여, 먹는 것이건 입는 것이건 기교(奇巧)하고 사치스럽다. 이 왕국의 경내에는 풍부한 산물이 있고, 외국에서 수입할 필요가 없다. 나는 심지어 이렇게까지 말할 수 있.. 2018. 8. 14.
귀곡자(鬼谷子)의 수수께끼 글: 고건중국(古建中國) "귀곡자"는 신비하고 변환막측하다. 명청의 소설에서 귀곡자는 신선같은 인물로 묘사된다. 실제로 역사상 귀곡자는 맹자(孟子), 순자(荀子)와 마찬가지로 한 명의 학자이다. 그는 무리를 모아서 학문을 가르쳤고, 책을 써서 자신의 주장을 남겼다. 그리고 &lt;귀곡.. 2018.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