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제29 중국에서 황제의 호칭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글: 이묵추(李墨秋) 이전에 중국고대역사를 읽을 때, 나는 왕왕 한 가지 문제에 대하여 의혹을 느꼈다. 즉 우리가 중국고대의 황제를 부를 때, 처음에는 모두 "00제(帝)"(시호)로 불렀다. 예를 들어, 한무제, 수문제 등등. 그러나 당나라때가 되면 이 칭호는 사라지고, 그에 대체하여, "0조", "0.. 2014. 3. 2. 엄숭(嚴嵩)의 여러가지 얼굴: 서생에서 간신까지 글: 범군(范軍) 청순(淸純) 처음에 엄숭이라는 명인이 세상에 남긴 얼굴은 청신가인(淸新可人)이다. 마치 일개 서생과 같다. 강서 분의(分宜) 사람인 그는 5살때 글을 읽기 시작하고, 9살때 현학에서 공부했으며, 10살때 현시에서 성적이 이미 발군이었다. 19세이 향시에 합격하여 거인(擧人).. 2013. 7. 12. 황제와 연단(煉丹) 글: 상한(桑寒) 이것은 무슨 논픽션소설이 아니다. 중국고대의 일부 제왕들도 수도(修道)를 했다. 자신이 지고무상이라고 생각하였으나, 귀문관으로 가고 싶어하지는 않았다. 수도를 하여 신선이 되는 술법을 선택하였고, 장생불사의 약을 힘들게 찾아다녔다. 무슨 원영(元嬰), 도겁(.. 2013. 4. 13. 중국관료부패의 특징 글: 사우(四友) 중국의 현재 관료부패는 고금중외의 모든 부패와 다르다. 이는 중국특색의 사회주의에 따라 발생한 것이다. 부패가 중국특색의 사회주의에 따라서 나타났기 때문에 부패방지를 위하여 손을 쓰기가 어렵다. 그저 겉으로 조금만 조치를 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고, 속으로 크.. 2013. 2. 13. 청류오국(淸流誤國) - 대예의(大禮儀) 글: 불요이분법(不要二分法) 한비자의 저작중 <난(難)>은 상당히 별다르다. "난"은 반박이다. 먼저 이미 정설도 되어 있는 역사이야기를 한 후에, 다시 반박하는 것이다. 즉, 먼저 과녁을 고정시킨 후 다시 무너뜨리는 것이다. 먼저 '대예의'부터 시작해야 한다. 왜냐하면, '대예의'는 소.. 2012. 8. 15. 중국역사상의 양부, 양자. 글: 도단방(陶短房) 언제부터인지 '양부'는 오락계, 특히 홍콩 대만이 오락계에서 '잠문화(潛文化)'였다. 그런데 지금은 본토에 상륙하였고, 소리소문없이 오락계뿐아니라 반오락계까지 만연되었다. '양자'가 되는 것은 오락권 혹은 반오락권의 인사이고, '양부'가 되는 것은 더욱 유명한 .. 2012. 3. 2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