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지방284

옛날 북경의 동부서귀(東富西貴) 북경에는 예로부터 "동부서귀(東富西貴)"라는 말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북경의 동쪽에는 부자들이 살고, 서쪽에는 고관(귀족)들이 산다는 말이다. 북경의 "동부서귀"라는 속담은 역사적으로 북경의 특수한 구역문화특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고, 또한 옛날 북경성의 상업경제, 정치문화의 분포에 .. 2007. 6. 26.
영고탑(寧古塔) : 청나라때의 유배지 인생천리여만리(人生千里與萬里) 암연소혼별이이(黯然銷魂別而已) 군독하위지어차(君獨何爲至於此) 산비산혜수비수(山非山兮水非水) 생비생혜사비사(生非生兮死非死) ...... 수환지종독서시(受患只從讀書始) 군불견오계자(君不見吳季子) 인생의 천리 만리를 슬프고 가슴아프게 이별할 뿐이다.. 2007. 6. 25.
홍콩의 몰락 글: 오굉원(鄔宏遠). 2007. 6. 21.자 다음 달이면 홍콩특별행정구에 대하여 중국이 주권을 회복한지 10주년 기념일이 된다. 홍콩의 정계, 상계의 지도자들은 아주 만족스럽게 이를 경축하고 있다. 그들의 자본가천국은 공산당의 영도하에, <>잡지가 1995년에 예견한 것처럼 고인 물로 되지도 않았.. 2007. 6. 25.
상해 : 경제의 거인, 문화의 난장이 글: 장굉(張?) 상해는 이전부터 상업적인 분위기가 상당히 농후한 도시였다. 이 점은 항상 일부 사람들 특히 일부 인문학 지식인들로부터 상해문화의 가장 중요한 죄상으로 공격받는 부분이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상업문명 자체는 잘못이 아니다. 상업문명도 인류문명의 하나이고, 선천적으로 도.. 2007. 6. 22.
홍콩은 어떻게 노점상을 관리하는가? 글: 마입성(馬立誠) 얼마전에 창밖의 노점상이 시끄럽게 소리지르고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자 도시주민들이 정부당국에 연이어 노점상을 단속해달라고 요구한 바 있었다. 그런데, 그후 시정부관리인원과 노점상간의 충돌로 노점상의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하자, 분위기가 또 바뀌었다. 많은 시민들.. 2007. 6. 17.
중국대륙 최고빌딩의 역사 1. 상해: 국제반점(國際飯店) 상해는 계속하여 중국 "최고"의 도시였다. 중국최고빌딩도 상해의 남경로(南京路)와 외탄(外灘)에서 돌아가면서 건설되었다. 1934년 높이 83미터의 22층짜리 상해국제반점이 들어서면서 중국최고빌딩을 놓고 다투던 싸움은 종결되었다. 상해국제반점은 중국에서 가장 오랫.. 2007.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