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선진)75 육웅(鬻熊): 도가의 비조(鼻祖) 글: 오한운(吳閑雲) 도가의 비조를 말하면,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태상노군(太上老君)을 떠올린다. 태상노군은 도덕천존(道德天尊)이라고도 하는데, 바로 노자(老子)이다. 개략 북위(北魏)시기부터 시작하여, 그는 태상노군이라고 존칭하게 된다. 노자는 춘추시대 말기에 생활했고, 초(楚).. 2012. 9. 19. 기해(祁奚): 외거불피구(外擧不避仇), 내거불피친(內擧不避親) 글: 불감왕언(不敢枉言) 기해는 진(晋)의 노신이고 역대이래로 4명의 군주를 모신 사조원로(四朝元老)이다. 그의 최고관직은 진나라의 중군위(中軍尉)로, 참모부장 혹은 작전부장에 상당한다. 당시 진나라군대는 상,중,하 삼군으로 나누엇는데, 중군이 총사령관이다. 그래서 그의 지위는 .. 2012. 8. 16. 사인피(寺人披): 궤변천재의 생존철학 글: 하당월색(荷塘月色) 진문공(晋文公) 중이(重耳)는 진헌공(晋獻公)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인덕이 아주 좋았다. 궁중에서 분쟁이 끊이지 않으므로, 그는 할 수 없이 여기저기를 유랑하는 생활을 한다. 국외로 도망간지 19년후, 비로소 그는 진나라로 돌아와서 국왕에 취임한다. 이때 나.. 2012. 8. 15. 평원군(平原君)의 일생최대의 실수는? 글: 유연빈(劉宴斌) 평원군(? - 기원전253년)의 성은 조(趙)이고 이름은 승(勝)이며, 전국시대 조나라의 종실대신이고, 조무령왕(趙武靈王)의 아들이며, 조혜문왕(趙惠文王)의 동생이다. 동무(東武, 지금의 산동성 무성)에 봉해졌고, 호는 평원군이다. 조혜문왕과 조효성왕(趙孝成王) 시기에 .. 2012. 8. 15. 이윤(伊尹)은 어떻게 상탕(商湯)의 승상이 되었는가? 글: 유연빈(劉宴斌) 막 흥성하는 부락의 두령인 상탕은 인재를 발견하고 인재를 발탁하는데 신경을 썼다. 현명한 인재들이 나라를 다스리는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고 있는 것이다. 상탕이 상왕조를 일으키고 하왕조를 멸망시키는 과정에서, 한 보신(輔臣)이 커다란 공헌을 했다. 그가 바.. 2012. 6. 23. 순자(荀子): 중국2천년의 진정한 대부 글: 정만군(程萬軍) 2천년 봉건중국의 대부를 뽑으라고 하면, 아마도 세상사람들은 유학의 창시자인 공자(孔子)를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역사를 꿰뚫어보는 눈이 밝은 사람이라면 다른 사람을 꼽을 것이다. 이 사람의 교의는 유학 "원래의 교지(敎旨)"를 더욱 오래갈 수 있.. 2012. 2. 16.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