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선진)75

관중(管仲): 중국역사상 가장 저평가된 인물 글: 조염(趙焰) 노자(老子)와 마찬가지로, 관중도 공자와 동시대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관중은 공자보다 나이가 확실히 많았다. 시간을 추산해보면, 공자가 출생했을 때는 이미 관중이 사망한지 몇년이 지난 때였다. 만일 관중과 공자를 비교하자면, 관중의 위대함을 바로 엿볼 수 있다. 공.. 2010. 3. 14.
손자(孫子)와 오기(吳起)는 누가 더 뛰어난가? 글: 화빈(華彬) 어제밤에는 병서를 읽어보았다. 그러다가 한 사람이 이런 문제를 제기한 것을 보았다: 손자와 오기는 누가 더 뛰어난가? 이 두 사람은 모두 내가 어려서부터 잘 알고 있는 인물들이다. 누가 누구보다 뛰어날지를 생각해본 적은 없었다. 일반 사람들이라면 손자가 더 익숙할 것이다. 왜냐.. 2009. 5. 25.
양주(楊朱)를 위한 변명 글: 위빈야객(渭濱野客) "일모불발(一毛不拔, 터럭 하나도 뽑지 않겠다)". 이 말은 아주 극단적인 이기주의자를 형용하는 말로 쓰이며, 폄하하는 말로 쓰인다. 이 글의 출처는 전국시대의 양주(楊朱)이다. 그는 일찌기, "터럭 하나를 뽑아서 천하에 이롭다고 하더라도, 하지 않겠다(拔一毛而利天下, 不爲.. 2009. 1. 14.
달기(妲己)는 어떻게 구미호로 변모했는가? 작자: 미상 상(商)나라의 주왕(紂王) 이전부터 불여우(狐狸精), 구미호(九尾狐)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우(禹)임금의 사랑이야기이다. 즉 우의 처는 여교(女嬌)라고 하는데, 도산씨(塗山氏)의 딸인데, 도산씨는 바로 구미호의 후손이라는 것이다. 고대의 <<산해경. 남산경>.. 2008. 7. 9.
범려(范蠡)에 대한 또 다른 해석 글: 백매월하객(白梅月下客) 오월(吳越)간의 전쟁에서, 월왕 구천의 와신상담 이야기는 오늘날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월나라가 오나나라를 멸망시킨 후에 범려가 대부 문종(文種)에 했다는 말, 즉, "새를 다 잡으면 활은 창고로 들어가고, 토끼가 다 죽으면 사냥개는 삶아 먹는다"는 토사구팽(.. 2008. 6. 29.
우(禹)임금이 남긴 3가지 수수께끼 글: 월초(越楚) 기련해(紀連海)는 우(禹)임금에 관하여 입을 놀렸다가, 많은 공격을 당하고 있다. 본인은 그 논쟁에는 흥미가 없다. 첫째는 역사상 우라는 사람이 존재하였는지에 대하여도 아직 정설이 없는데,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는 사람의 혼외정사에 대하여 싸워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둘째.. 2008.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