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1385

방통의 죽음은 촉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글: 섭지추(葉之秋) 수경선생 사마휘가 남긴 명언이 영향을 크게 미친다: "와룡, 봉추, 한 명만 얻으면 천하를 안정시킬 수 있다"(臥龍,鳳雛,得一可安天下). 그러나, 인덕의 군주인 유현덕은 제갈량과 방통 두 현인을 얻었는데, 여전히 통일천하의 대업을 완수하지 못했다. 이것은 무엇때문.. 2012. 8. 15.
애산(崖山): 송,원의 마지막 전투 글: 조세룡(趙世龍) 송-원전쟁은 오래 끌었다. 1235년부터 1279년까지 45년간이나 지속되었다. 덕우2년(1276년) 원나라군대는 임안성(臨安城)으로 몰려오고, 사태후(謝太后)는 5살된 어린 황제 송공제(宋恭帝)를 데리고 성문을 열고 몽골군에 투항한다. 양숙비(楊淑妃)는 자신의 두 아들 익왕(.. 2012. 8. 15.
팔왕의 난: 권력은 나쁜 것인가? 글: 장효정(張曉政) 290년, 진무제(晋武帝) 사마염(司馬炎)이 죽었다. 그는 통일한지 겨우 10년된 방대한 제국과 '왜 고기를 먹지 않는 것이냐?'라고 물었다는 바보황제 진혜제(晋惠帝)를 남겼다. 불행한 것은 이 바보황제에게는 추악하면서도 악독하기 그지없는 황후 가남풍(賈南風)이 있었.. 2012. 7. 14.
기원223년: 공명향좌(孔明向左), 위연향우(魏延向右) 글: 조염(趙炎) 제갈량과 위연이 불화했다는 증거는 주로 <삼국연의>의 '반골설(反骨說)'과 정사에 나오는 '자오곡기모(子午谷奇謀)'를 제갈량이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역사인물을 연구하는 입장에서 보자면, 소설가의 말에 의존할 수는 없다. 유한한 사료도 제갈량이 도량좁.. 2012. 7. 14.
원나라는 중화민족의 가장 부끄러운 왕조이다. 글: 신력건(信力建) 많은 사람들은 원(元)나라를 중화민족역사상 가장 자랑스러운 왕조라고 여긴다. 예를 들어, 1930년대에 청구(淸癯)라는 사람이 쓴 <우리나라가 러시아를 정벌한 전쟁역사의 한 페이지>라는 글에서 이런 말을 했다: "원나라 징기스칸의 역사를 읽었다. 몽골에서 .. 2012. 7. 8.
몽골제국: 평가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글: 왕기조(王紀潮) 오스만 투르크가 동서방의 교통을 차단한 후, 컬럼버스는 스페인의 군주 페르디난드 2세(Ferninand II, 1452-1516)에게 건의한다. 그는 해로로 동방으로 가서 새로 서방과 몽골 대칸과의 연결을 새로 건립하겠다고 한다. 컬럼버스가 새로 항로를 개척하려고 한 유인중 하나는.. 2012.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