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공통)136 중국 고대의 공성전(3): 방어기기 <무경총요(武經總要)>에 따르면, "수성의 도는 그가 오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것이 아니라, 내가 기다리는 것이다; 그가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것이 아니라, 내가 공격하지 않는 것이다." 즉, 주도면밀한 배치, 적극적인 방어가 왕도이다; 다행히 중국 고인들은 경험을 종합하고.. 2014. 7. 17. 중국 고대의 공성전(2): 고대 성지(城池)의 건축특색 중국초기의 성지(城池)는 절대다수가 토축(土築), 즉 흙으로 쌓은 것이었다. 명나라 이후, 각지의 성벽은 비로소 대규모로 벽돌이 사용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중국고대역사의 절대다수의 시간동안, 성지는 누런 모양이었다. 일찌기 3천년전인 은상(殷商) 시대에, 우리의 선조들은 이미 .. 2014. 7. 17. 중국 고대의 공성전(1): 중국의 수성술 글: 단전강(段戰江) 어떤 의미에서 말하자면, 고대의 전쟁사는 성지(城池)의 공방사라고 할 수 있다. 수천년동안, "공성발채(攻城拔寨)"는 역대전쟁의 직접 목표이며 관건 동기였다. 전쟁이 일어나면서 공격하고 방어하는데, 성지는 가장 중요한 전쟁무대였다. 특히 춘추전국시대에, 제후.. 2014. 7. 17. 당혼(黨魂)과 국혼(國魂) 글: 공경동(孔慶東) 여러 선배님, 여러 선생님, 그리고 간부님들의 강연은 아주 좋았습니다. 오늘은 제가 다시 한번 공부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당의 문제를 얘기하자면, 3년전 우리의 건당90주년때, 나는 강좌를 하나 한 적이 있습니다. 제목은 <생생사사(生生死死)90년>이었습니다. .. 2014. 7. 17. 황제는 하루에 몇 끼를 먹었는가? 글: 이개주(李開周) 예를 들어 여러분이 북송때 식사를 한다면, 절대로 정오에 가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북송때 많은 식당들은 점심을 팔지 않았기 때문이다. <동경몽화록> 제8권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오미간(午未間)에 집집마다 술이 없고, 망자(望子)를 내린다." '오미'는 오시에서.. 2014. 5. 30. 역사상의 '술주정'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술주정은 말 그대로 술을 마시고 하는 말이다. 평상시에 말하기 곤란하거나 말하기 어렵거나 심지어 말할 수 없는 말을 왕왕 술기운을 빌어서 얘기하게 된다. 그러나, 술주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마는지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어떤 경우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 2014. 5. 30.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