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공통)128

중국역사상 이름난 32명의 공주중에서 누가 가장 미인이었을까? 글: 이자지(李子遲) 중국은 수천년의 유구한 문명역사를 지니고 있다. 수백개에 이르는 역대왕조에는 수천에 이르는 황제와 국왕이 있었고, 수만에 이르는 제왕의 딸 즉 공주가 있었다. 그녀들은 금지옥엽이라 부를 만하다. 제왕의 딸로서 온나라의 상하, 백성들 중에서 가장 찬란한 진주.. 2018. 1. 31.
중국역사에서 돌연 사라진 두 개의 장병기(長兵器): 맥도(陌刀)와 마삭(馬槊) 글: 중화냉병기(中華冷兵器) 당나라의 맥도(陌刀)는 일종의 장병도(長柄刀)이고, 당나라의 사식군도(四式軍刀)중 하나이다. 주로 당나라의 중장보병(重裝步兵)이 사용했고, 장군들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사용한 사람이 있다. 예를 들면, 당나라의 저명한 맥도장군은 이사업(李嗣業)이 있다.. 2018. 1. 26.
손자병법의 수수께끼를 풀어준 한묘(漢墓)의 죽간(竹簡) 글: 진휘(陳輝) <손자병법> <손빈병법> 죽간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고대인들은 문헌서적을 죽편(竹片), 목편(木片), 포백(布帛)에 썼다. 오늘날의 사람들은 이를 죽간(竹簡), 목독(木牘), 백서(帛書)라고 부른다. 이들 문헌자료는 쉽게 썩기때문에, 지금까지 전해져내려오는 것이 없.. 2018. 1. 11.
어장검(魚腸劍) 이야기의 비밀은...? 글: 자금산(子金山) 전제(專諸)는 구운 생선을 받쳐들었다. 오왕의 시위는 전제의 온몸은 샅샅이 수색했지만, 시위가 구운 큰 생선을 자세히 살펴보긴 했지만, 아무도 감히 생선의 배를 갈라서 조사해 보지는 못했다. 공자광(公子光)의 거사가 임박했을 때, 거사를 준비했던 전제는 그러나.. 2018. 1. 8.
아편(鴉片)은 어떻게 구명약에서 탈명독이 되었는가? 글: 문재봉(文裁縫) 앵속(罌粟)은 아랍 사신이 대당(大唐)에 가져온 선물이다. 중국에 들어온 후 수백년동안 앵속은 보기 좋은 관상식물이면서 목숨을 구하는 치료의 양약이었다. 그러나, 나중에는 재산을 날리고 목숨도 잃는 독품이 된다. 아랍사신이 가져온 선물 앵속의 원산지는 서아.. 2018. 1. 6.
여권(Passport, 護照)의 역사 글: 왕린(王麟) 아주 얇은 작은 책자가 있다. 이것만 가지고 있으면 지정한 국가간을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다. 출국을 해본 사람이라면 모두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누구든지 반드시 휴대해야 한다. 일단 분실하면 상당히 골치아파진다. 이 작은 책자가 바로 "여권"이다. 기실, "호조(護照, .. 2017. 11. 2.
역대천하제일검객명단 글: 노철봉(蘆哲峰) 검(劍)은 백병지군(百兵之君)이고, 단병지조(短兵之祖)이다. 고대 협객(俠客)이 가장 즐겨 사용하던 무기이다. 춘추시대부터 명나라말기까지, 역대 천하제일검객은 다음과 같다: 1. 월녀아청(越女阿靑) 춘추시대 말기, 월녀 아청은 남림(南林)에 거주하며, 백원(白猿)에.. 2017. 10. 10.
지금은 사라진 역사의 고성(古城) 1.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 상경용천부는 고대 발해국의 도성이다. 당나라 장안성을 모델로 설계하였고, 요태조 야율아보기가 천현원년(926년) 발해국을 멸망시킨 후 훼멸된다. 유적지는 흑룡강성 흥안시(興安市) 경내에 있다. 발해국은 200여년간 존속하여 시간이 짧지 않은 편이다. 그러.. 2017. 7. 4.
중국고대에 여성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줬을까? 글: 황효양(黃曉陽) 어제는 사람들과 문화에 대하여 얘기했는데, 나는 약간 걱정이 앞섰다. 어떤 친구들은 매일 주식과 우표, 화폐의 가격만 연구하는데 습관이 되어 문화에 대하여 흥미가 크지 않을까봐. 그런데 내가 생각지도 못하게, 많은 친구들이 글을 남기고 관심을 가져주었다. 심지어 어떤 친구는 필자에게 문화에 대하여 얘기하는 블로그를 열라고 말하기도 했다. 기실 나는 정말 문화를 얘기하는 블로그를 열고 싶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내가 하는 일이 너무많아서, 이런 글을 쓰는데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해서 시간적 손실이 크다. 그래서 잠지 여기에 글 하나만 남기고, 상황을 보아가면서 계속 쓸 것인지 아니면 다른 방법을 찾을 것인지 생각해보려고 한다. 우리는 알고 있다 성(姓)은 처음에 여(女)에서 나왔다는 .. 2017. 6. 14.
고대 칭호의 유래: "폐하(陛下)" 글: 매천일점고문화(每天一點古文化) 우리가 자주 보는 사극 드라마나 영화에서 신하들이 황제를 "폐하"라고 부르고, 황자나 친왕들을 "전하(殿下)"라고 부르는 것을 보게 된다. 고대인들이 칭호를 쓸 때 윗사람을 높이고 아랫사람을 낮추게 되는데, 왜 신하들은 "폐하", "전하"같은 칭호로.. 2017.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