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사회701 해방전의 북경5대대학 글: 노북경문화원 일찌기 이런 노래가 있었다. 북대로(北大老) 사대궁(師大窮) 연경청화호통융(燕京淸華好通融) 보인시좌화상묘(輔仁是座和尙廟) 육근불정막보명(六根不淨莫報名) 북경대학은 늙었고, 사범대학은 가난하고 연경, 청화는 잘 통한다. 보인대학은 절간이니 육근이 청정하지 않으면 원서.. 2007. 12. 26. 4개 한자, 8개 성씨 글: 마라(摩羅) 여러해 이전에 성이 "覃(한국발음은 담)"인 인사를 만났다. 나는 그의 명함을 받고는 "Tan(탄)"모모라고 읽었다. 곁에 있던 한 친구가 급히 시정해주었다. "틀렸어. 이건 Qin(친)이라고 읽어야 돼" 나는 이 발음을 머리속에 꼭 기억했다. 마음 속으로 다음에는 틀리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얼.. 2007. 12. 14. 어느 임산부의 죽음 글: 장명(張鳴) 해산을 앞둔 임산부가 있고, 수술을 해서 아이를 낳아야 하는데, 남편이 수술동의서에 서명을 계속 거부하여, 결국 임산부는 병원에서 죽었다. 어떤 사람들은 병원이 너무 고지식하게 일처리하였고, 인간적이지 못하다고 비난하며, 어떤 사람들은 남편을 질책한다. 그가 무지하고 고집.. 2007. 11. 28. 중국의 오대 괴성(怪姓) 소위 백가성(百家姓)이라는 것은 그저 많다는 뜻일 뿐이고, 백개라는 의미는 아니다. 사실 성씨의 종류는 각양각색이어서, 통계를 내기 힘들 정도이다. 중국에 얼마나 많은 성씨가 존재하는지 정확한 숫자를 말할 수는 없고, 그저 개략적인 수치를 댈 수 있을 뿐이다. 어떤 사람들은 8000개라고도 하고, .. 2007. 11. 10. 남방사람의 원칙과 북방사람의 간사 글: 소성(蘇醒) 북경사람들은 모이기만 하면 남방사람들이 너무 약삭바르다고 말하길 좋아한다. 그러면서 북방 사람들은 호쾌하다고 하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하여 필자는 동의할 수 없다. 최근에 느낀 바가 많다. 인터넷몰을 열었으므로, 최근에 가장 많이 접촉한 것이 도매상들이다. 남방사람과 북방.. 2007. 11. 7. 일부다처제와 중국고대사회 글: 광명일보 일부다처제는 중국고대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존재하였던 제도의 하나이다. 원시사회의 부계씨족사회에 나타나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될 때까지 존속했다. 이 기간동안 사회체제는 여러번 변모를 겼었지만, 일부일처제의 혼인제도는 변화되지 않았었다. 이처럼 오랫동안 지속된 일.. 2007. 10. 12. 이전 1 ··· 88 89 90 91 92 93 94 ··· 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