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사회701 2007 년 북경지역 논술문제 "세우습의간불견(細雨濕衣看不見), 한화낙지청불성(閑花落地聽不聲)" 은 당나라 시인 유장경(柳長卿)이 <<별엄사원(別嚴士元)>>에서 쓴 싯구이다. 일찌기 사람들은 이렇게 이 시를 이해했다. 1. 이것은 봄날의 아름다운 경지를 노래한 것이다. 2. 한화, 세우는 다른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적막을.. 2007. 6. 8. <<본초강목(本草綱目)>>의 황당한 처방 글: 방주자(方舟子) 최근에 책을 쓰는데 필요하여, 필자는 <<본초강목>>을 한번 훑어보았다. 그리고는 아주 재미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유명한 책은 이름 그대로라면 당연히 약초(草)를 위주로 하여야 할 것인데, 실제는 그렇지가 않다. 그는 약물을 수(水), 화(火), 토(土), 금석(金.. 2007. 5. 31. 1930년대 중국대학의 학비 1930년대의 중국대학은 크게 세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공립대학(國立, 省立, 部立대학을 포함함). 학비가 가장 쌌고, 그래서 합격하기 가장 어려웠던 대학이다. 청화대학, 북경대학, 북경사범대학, 교통대학 중산대학등 국가의 교육비로 지원하는 대학들이다. 둘째, '귀족대학'으로 불리.. 2007. 5. 31. 경락(經絡)은 도대체 무엇인가? 방주자(方舟子) (* 최근들어 중의학-한의학-이 가짜과학이라는 논쟁을 주도하고 있는 방주자의 글입니다) 중국전통의술이 시종 억측과 경험 사이를 배회하고, 과학의 문으로 진입하지 못한 아주 중요한 하나의 원인은 인체해부학지식의 결핍에 있다. 중국고대의사들은 그저 옛부터 전해내려오는 의학.. 2007. 5. 30. 서안(西安)을 수도로 한 왕조는 몇 개인가? 도대체 몇 개의 왕조가 서안을 수도로 정했을까? 역대이래로 여러가지 설이 전해지고 있다. 11왕조설, 12왕조설, 13왕조설, 14왕조설 등등이다. 그렇다면 어느 설이 정확한 것일까? 11왕조라는 견해는 서안을 수도로 정한 왕조를 차례대로 서주(西周), 진(秦), 서한(西漢), 신(新), 전조(前趙), 전진(前秦), 후.. 2007. 5. 28. 중국인들은 왜 선택할 줄 모르는가? 글: 위가기(魏嘉琪) 최근 몇년동안 자주 중국의 대표단들이 내방을 하면, 미국친구들은 놀라서 나에게 이렇게 묻곤 한다: 왜 중국인들은 선택할 줄 모르는가? 미국친구가 중국에서 찾아온 친구들을 접대할 때, 모든 서비스에는 대부분 3가지 이상의 선택권을 부여한다, 그들은 자주 이렇게 묻는다: "오.. 2007. 5. 28. 이전 1 ··· 91 92 93 94 95 96 97 ··· 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