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사회/중국의 도시49 중국역사상 "남경"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도시는...? 글: 한곤(寒鯤) 이전에 '북경'을 소개한 것과 마찬가질, '남경'이라는 명사도 처음에는 어느 소재지구와 관련된 전용지명은 아니었다. 역대왕조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지구에 설치된 행정색채가 충문한 '행정지명'이었다. 왕왕 '남도(南都)'와 동의어로 쓰였다. 모두 '남방의 경성, 혹은 .. 2018. 7. 15. 중국역사상 "북경(北京)"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던 도시들은....? 글: 한곤(寒鯤) "북경(北京)"이라는 명사는 처음에 북경시 소재지역과 긴밀하게 연결된 '전용지명'은 아니었다. 오히려 역대왕조들이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했던 '유동지명(流動地名)'이었다. 그리고 왕왕 '북도(北都)'와 동의어로 쓰였다. 이는 중국역사상 여러 왕조에서 '다.. 2018. 6. 27. 중국에서 1000년이상 개명하지 않은 역사도시들 글: 천지사화(天地史話) 12. 남창(南昌) 오대십국(五代十國)시기인 959년 남당(南唐)은 홍주(洪州)를 남창부(南昌府)로 승격시킨다. 지금까지 1000여년이 흘렀다. 11. 복주(福州) 당(唐)나라 개원13년(725년), 원래의 민주(閩州)를 복주(福州)로 개명한다. 지금으로부터 1300년전의 일이다. 10. 양주(.. 2018. 6. 26. 같은 이름의 시,현(市,縣). 글: 십년감시(十年砍柴) 몇년전, 한 외지의 친구가 인터넷에서 불평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는 차를 몰고 가면서 원래 소양시(邵陽市)로 가려고 했는데, 길표지판을 따라가보니 시에서 40킬로미터 떨어진 소양현성(邵陽縣城, 즉 당도구진(塘渡口鎭)으로 갔다. 만일 호남성의 지리에 .. 2014. 11. 6. 한단(邯鄲): 3천년간 이름이 바뀌지 않은 도시 글: 대취간역사(大嘴侃歷史) 중국의 전설중에서, 상고시대의 인류시조인 여왜(女媧)는 한단의 고중황산(古中皇山)에서 흙으로 사람을 빚었으며 연석보천(煉石補天)했다. 그녀의 신력은 이들 진흙사람에게 생명을 불어넣어준다. 한단의 이름은 화하역사의 첫페이지부터 나타난다. 그.. 2014. 9. 7. "귀성(鬼城)"을 어떻게 할 것인가? 글: 장가진(張家振) 밤의 장막은 내렸는데, 불빛은 잘 보이지 않는다. 광동 후이저우(惠州) 다야완구(大亞灣區)의 2,328호의 단지에는 겨우 2집에만 불이 켜졌다. 저녁에 순찰을 도는 보안들도 불안할 정도이다. 낮에는 머리에 오랜지색 안전모를 쓴 건축노동자들이 수시로 출몰하는 외에, .. 2014. 1. 15.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