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도시49

광저우(廣州): 외국인이 본 천년상도(千年商都) 글: 장업군(張業軍) "천년상도"라는 별명으로 불리우는 광저우는 근대이래로 중국의 대외무역중심이었다. 해방후, 다시 수출입상품교역회를 거행하는 곳이 되었고, 중국의 "남대문(南大門)"이 되었다. 21세기이래의 거대한 경제국면변화는 광저우의 국제적인 영향력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을까? 외국인.. 2008. 5. 19.
동관(東莞): 불량도시 글: 홍교준(洪巧俊) 동관(東莞의 莞은 한국발음으로 완이지만, 중국발음을 따서 통상적으로 "동관"이라 부르므로 여기에서도 동관이라고 쓰기로 한다)을 불량도시라고 부르는 것은, 이 곳의 시민들이 불량하다는 것도 아니고, 이곳의 관리가 불량하다는 것도 아니다. 한 유명인의 말을 빌리면, "절대다.. 2008. 4. 17.
광저우 사람들의 이름에서 나타난 특색 광저우(廣州, Guangzhou)는 가장 먼저 개방된 남부지역 도시중 하나이다. 공안부에서 발표한 "전국공민신분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광저우에 호적을 둔 사람들 중에서 "진지강(陳志强)"이 가장 많아서, 1,147명이나 된다. 랭킹 10위안에 드는 성명은 차례로 아래와 같다. 1. 진지강(陳志强) 1,147 2. 황지강(黃.. 2007. 8. 13.
중국도시의 시화(市花) 심양(요녕), 라싸(티벳), 난주(감숙), 은천(영하), 우루무치(신강) : 매괴화(??花) 북경, 천진, 석가장(하북), 정주(하남) : 월계(月季) 하르빈(흑룡강), 서녕(청해), 후허하오터(내몽고) : 정향화(丁香花) 합비(안휘), 항주(절강) : 계회(桂花) 마카오, 제남(산동) : 하화(荷花) 무한(호북), 남경(강소) : 매화(梅花).. 2007. 6. 11.
서안(西安)을 수도로 한 왕조는 몇 개인가? 도대체 몇 개의 왕조가 서안을 수도로 정했을까? 역대이래로 여러가지 설이 전해지고 있다. 11왕조설, 12왕조설, 13왕조설, 14왕조설 등등이다. 그렇다면 어느 설이 정확한 것일까? 11왕조라는 견해는 서안을 수도로 정한 왕조를 차례대로 서주(西周), 진(秦), 서한(西漢), 신(新), 전조(前趙), 전진(前秦), 후.. 2007. 5. 28.
심천 : 서른살의 나이, 예순살의 심장 글: 이충휘(李忠輝) 증상의 묘사 벌써 세번째이다. 내가 돌연 모든 인터넷친구들의 시선에서 사라지게 된 것이. 왜냐하면 심천의 많은 곳에 정전이 되었기 때문이다. 내가 거주하는 지역과 일하는 지역은 모두 화를 피하지 못했다. 연속 며칠간 인위적인 정전이 근 8시간이나 계속되고 있다. 이는 심천.. 2007.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