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언어

언어로 본 중국과 서방의 사고, 문화의 차이...

by 중은우시 2023. 3. 7.

글: 사로(思蘆)

 

언어, 사고, 문화의 삼자는 상호 영향을 크게 준다. 중국어와 영어를 비교하여, 중국과 서방의 사고방식, 문화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도 아주 재미있는 주제일 것이다. 

 

중국인은 형상(形象)사고와 변증사고에 치중하고, 서방은 추상사고와 논리사고에 치중한다. 형식논리는 흑 아니면 백으로, 모순을 허용하지 않고, 인과관계가 분명하다. 변증법은 전면적이고 역사적이며 변화적으로 문제를 본다. 다만, 자주 중용화하고 삼칠개(三七開, 3할 7할로 나누는 것. 예를 들어 공이 7, 과가 3등과 같이), 각각 곤장50대씩 때린다, 면면구도(面面俱到), 팔면영롱(八面玲瓏)하게 된다. 언어에 반영되는 것으로는 중국어가 영어보다 모호하고, 여러 의미를 지니는 경우가 많아서, 자주 아래위의 글을 보거나, 말하는 상황을 살펴보아야 한다. "청군대패왜구(淸軍大敗倭寇, 청군이 왜구를 대패시켰다)"와 "청군대승왜구(淸軍大勝倭寇, 청군이 왜구에 대승을 거두었다)"의 경우 승과 패는 반대말이지만, 이 두 문장은 같은 뜻이다. 어법이나 단어의 뜻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말하는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노처녀가 나타나는 원인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誰都看不上(누구든지 마음에 들지 않는다)"이고 다른 하나는 "誰都看不上(누구도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다)"이다(여기서 '누구'는 한곳에서 주어 다른 한곳에서 목적어로 쓰였다). 이 두 개는 원인이 서로 다르다. 그러나 표현방식은 완전히 일치한다. 영어는 논리성을 추구하여, 비교적 정확하다. 중국어는 동일구조를 중시하여, 두 가지 유형의 공통된 특징을 단언한다. 그래서 중국문학에서는 자주 비유, 의상(意象)과 비흥(比興)등의 수사가 많이 쓰인다. 중국의 이런 유추법은 동일법칙에 어긋나고 개념을 바꿔치기하는 것이다. 형식논리적으로 보면 궤변이나 다름이 없다. 다만 중국인들은 우리가 더욱 높은 수준의 변증법적 사고를 한다고 말한다.

 

중국인은 사고에서 동일구조와 문화상의 조화추구는 중국언어에서 중첩어구, 댓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칭을 중시한다. 음(音), 의(義), 사(詞), 어(語), 구(句)가 쌍을 이루어야 한다. 그래서 글자를 중첩적이고 중복적으로 쓴다. 어구는 대립병련(對立幷聯), 대우배비(對偶排比), 음절균칭(音節勻稱)을 많이 채용한다. 예를 들어, 쌍성사(雙聲詞)는 성모(聲母)가 같은 두 개의 음절을 연이어 단어로 만든 것이다(美滿, 新鮮), 중첩사(重疊詞)는 운모(韵母)가 같은 두 개의 음절을 연이어 단어로 만든 것이다(從容, 徘徊, 중국어로는 총롱, 바이화이로 운모부분이 같다), 첩음사(疊音詞)(예를 들어 漸漸)같은 것들은 음절과 글자뜻이 협조, 조화 및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한자단어는 두 가지 같은 유형을 묶어서 사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빙천설지(氷天雪地), 금수(禽獸), 탁의(桌椅), 학습(學習), 두뇌(頭腦)등. 첩음사를 써서 분위기를 강화하거나 표현하기도 한다. 배구를 사용하여 효과를 강화시키기도 한다. 영문은 중복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특히 같은 음절, 단어 혹은 구절을 중복해서 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첩운사도 거의 없다(예를 들면 walkie-talkie), 더구나 첩음사는 중국어보다 훨씬 적게 사용한다. 

 

한자는 줄일 수 있는 한 줄인다. 표현의 간결성을 가진다. 이는 상형문자의 복잡한 구조때문에 그러하다. 반드시 소수의 문자를 통해서 많은 뜻을 표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형문자는 추상적인 단어를 표시할 수 없다. 반드시 연상(가차)를 통하여 표현해야 한다. 한자중 추상어는 비교적 적다. 많은 현대의 추상어는 외래어이다. 예를 들어, 세계, 과학, 본질, 표상, 이성과 개념 등등. 한자에는 'size'에 대응하는 단어가 없다. 또한 영어의 후철 'ness'에 대응하는 표현방식도 없다. 그러므로, 한자에는 "whiteness"가 없다. 오직 백조같이 하얀 것과 눈처럼 하얀 것이 있을 뿐이다. 중국어는 간결하지만 쉽게 여러 의미를 가지게 된다. 특히 고대에는 방점부호로 문장을 나누지 않아서, 정확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과학적인 사고나 논리적인 사고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과학이 중국에서 비교적 늦게 발달하게 된 원인중 하나일 것이다.

 

서방은 형식논리를 중시한다. 영어에서는 형합(形合)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드시 문법규칙을 따라야 한다. 반드시 완벽한 어법수단과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주어와 동사가 일치하고, 시제가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한자는 의합(意合)을 중시한다. 단어를 고도로 중시하고, 서방처럼 문법을 중시하지 않는다. 영어는 구조를 중시하지만, 한자는 어의(語義)를 중시한다. 영어는 각종 유형의 연결수단으로 어법구조의 완벽성을 기한다. 그리고 논리관계의 연접사(예를 들어 and, but, so, however), 관계사(예를 들어, that, which, what, how, where), 전치사(예를 들어 of, in, on, about)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한자는 어의형 언어이다. 문법관계는 주로 단어의 순서를 통해 표현된다. 한자를 운용하여 연관시키는 것을 중시한다. 한어는 형태변화가 없고, 영어에서와 같은 관계사가 없다. 문장성분간의 보조사도 아주 적다. 주로 실제단어의 자체의미와 순서를 연결시켜서 이해한다. 그리하여 언어가 직접 의미와 연결된다. 영어는 긴 문구, 종속문구, 복합문구가 있지만, 한자는 통상적으로 단구, 간단구와 분구이다. 전자는 복잡하고 구조가 긴밀하고 탄력성이 적다. 후자는 구조가 느슨하고, 탄력성이 많다. 한어는 상하문을 중시하는 언어이다. 전후연결은 주로 상하문의 논리적인 의미로 실현된다. 한자의 다의성과 고도의 어감에 의존하는 성격은 컴퓨터언어로 식별되기 더욱 곤란하게 만든다.

 

한자에는 가정법이 없다. 이는 중국인들이 정면사고를 좋아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실에 반하는 사고는 그다지 잘 운용하지 못한다. 이런 실험이 있었다. 교수가 가정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하나 해주고 나서 그 이야기에 나오는 사건이 실제 발생한 것인지를 물어보았다. 98%의 미국학생들은 정확하게 답을 했다: 발생하지 않았다고. 그러나 정확하게 답한 중국학생은 7%에 불과했다. 한어에는 가정법이 없으므로 그것이 상상속의 가정인지를 잘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다.

 

중국인의 사고는 주관을 강조한다. 서방의 사고는 객관을 강조한다. 한어사고는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살마을 중심으로 사물을 사고하는 사고모델을 형성한다. 이런 사고의 차이는 한어는 주어가 자주 사람이지만, 영어는 주어가 물건이 된다. 한어는 주동적인 문장을 좋아하지만, 영어는 피동적인 문장을 좋아한다.

 

중국인은 집단이익과 전체가치를 중시한다. 서방은 개인가치를 중시한다. 영어에서 나는 영원히 대문자이다. 한자에서는 여러가지 나에 대한 겸양어가 있다. 비(鄙), 비(卑), 복(僕), 우(愚), 졸(拙), 신(臣), 폐인(敝人)등등. 중국인은 "우리는 ....생각한다"고 말하기를 좋아하고, 영미인들은 왕왕 "My opinion is ...."라고 말하기를 좋아한다. 서방의 언어는 자주 자신에게서 출발하지만, 중국어는 자주 상대방에게서 출발한다. 마찬가지로 겸양하는 문구이지만, 중국인들은 "您请(당신이 먼저)"이지만 영어에서는 "After you"(내가 뒤에)이다. 

 

중국인은 과거를 보면서 시간의 선후를 구분하고, 영미인은 미래를 보면서 시간의 선후를 구분한다. 영어에서 back과 forward는 각각 과거와 미래를 가리킨다. 그러나 한어에서는 "전(前)"이 과거를 가리키고, "후(後)"가 미래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당시(唐詩)에서 "전불견고인(前不見古人), 후불견래자(後不見來者)"라고 쓴다. 한자는 시간관념에서 더욱 상세하다. 전일(前天), 작일(昨天), 금일(今天), 명일(明天), 후일(後天)이 있다. 그러나, 영문에서는 yesterday, today, tomorrow밖에 없다.

 

한자에서 친척을 부르는 명칭은 많고 다양하다. 이는 중국인들이 가족관념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친척의 장유존비그리고 배분에 따라 상세히 구분한다. 영어에서는 그저 성별만 구분하지, 장유는 구분하지 않는다. 부계와 모계도 세분하여 구분하지 않는다. 영어에서는 친척을 부르는 칭호에 이름을 붙여서 쓴다. 예를 들어 Uncle Tom과 같이. 그러나 한자에서 직접 윗사람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영어는 수량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를 구분하는데, 이는 서방사고방식의 물체에 대한 분류를 강조하는 것이다. 중문은 영어에 비교하여 형상사(形狀詞)의 수량이 놀라울 정도로 많다. 약 1만여개나 된다.

 

사고습관에서, 중국인들은 '종합'을 중시하고, 서방인들은 '분석'을 중시한다. 한자의 기본단어는 개략 3천여개이다. 이들 한자를 조합하면 보통 신문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고등학교 졸업생의 단어수량은 개략 45,000개이다. 더 많은 기본단어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문화적으로 중국은 '명(名)'을 중시하고, 영미는 '질(質)'을 중시한다. 영문작품은 제목을 비교적 편하게 짓는다. 그저 구분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간결하게 짓는다. 심지어 사람이름이나 지명을 쓴다. 예를 들어, <일리아드> <오딧세이>같은 것이다. 영화제목도 Seven, Ghost, Speed, Forest Gump, Leon, Waterloo Bridge등이다. 그러나 중국어에서는 제목에 신경을 많이 쓴다. 제목에서 의미를 포함시키려고 노력한다. 제목만으로 눈길을 끌려는 것이다. 위의 영문영화에 대응하는 중굼제목은 칠종죄(七宗罪), 인귀정미료(人鬼情未了), 생사시속(生死時速), 아감정전(阿甘正傳), 이 킬러는 그다지 차갑지 않다(這個殺手不太冷), 혼단남교(魂斷藍橋)이다. 영미의 영화제목은 수수께끼여서 영화를 보고 내용을 알도록 하는 것이라면, 중국의 영화제목은 수수께끼에 대한 답이다. 미리 내용을 예상하게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