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언어48

한자의 곤경: 타자기에서 인공지능까지 글: 사로(思蘆) ​ 중문매체에서 크게 띄워주고 있는 를 읽어보았는데, 비교적 실망스럽다. 이 책의 작자는 스탠포드대학의 교수인 Thomas Mullaney이다. 책에 학술있내용은 적고, 역사이야기가 많아, 가치가 높지 않다. 단순한 중문타자기의 역사일 뿐이고, 깊이있는 통찰이나 분석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작자는 정치정확의 평가에 머무르면서, 사회다윈주의라는 틀로 모든 반대주장을 공격했고, 문화우열이나 언어본질에 대한 평가를 거부했다. 서방의 일부학자들은 두 문화가 부딛치는 분야에서 양편 모두에 치우치지 않으면서, 교묘하게 양쪽을 모두 인정하는 방식으로 쓰기를 좋아한다. ​ 다윈진화론의 핵심은 적자생존이다. 이 견해는 사회학에서 문화에도 우열이 있어, 낙후된 문화는 도태된다는 것으로 잘못된 것이 없다.. 2024. 3. 8.
언어로 본 중국과 서방의 사고, 문화의 차이... 글: 사로(思蘆) 언어, 사고, 문화의 삼자는 상호 영향을 크게 준다. 중국어와 영어를 비교하여, 중국과 서방의 사고방식, 문화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도 아주 재미있는 주제일 것이다. 중국인은 형상(形象)사고와 변증사고에 치중하고, 서방은 추상사고와 논리사고에 치중한다. 형식논리는 흑 아니면 백으로, 모순을 허용하지 않고, 인과관계가 분명하다. 변증법은 전면적이고 역사적이며 변화적으로 문제를 본다. 다만, 자주 중용화하고 삼칠개(三七開, 3할 7할로 나누는 것. 예를 들어 공이 7, 과가 3등과 같이), 각각 곤장50대씩 때린다, 면면구도(面面俱到), 팔면영롱(八面玲瓏)하게 된다. 언어에 반영되는 것으로는 중국어가 영어보다 모호하고, 여러 의미를 지니는 경우가 많아서, 자주 아래위의 글을 보거나, 말하는 .. 2023. 3. 7.
인민폐(人民幣)의 문자 글: 소배성(蘇培成) 인민폐에는 5종문자가 적혀 있다. 바로 한자(漢字), 몽문(蒙文, 몽골문자), 장문(藏文, 티벳문자), 유문(維文, 위구르문자)과 장문(壯文, 장족문자)이다. 아래에서는 100위안 인민폐를 예로 들어 설명해보기로 한다: 한자는 중국의 국가통용문자이다. 국내 각민족간이 교.. 2019. 1. 5.
흉노에 문자가 있었을까? 작자: 미상 흉노는 기원전3세기, 몽골초원에 건립된 유목을 위주로 한 강대한 민족정권이다. 이들은 대막남북, 동북평원, 하투 및 황토고원을 400여년간 통치했다. 그러므로 그들은 중국역사와 세계역사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유감스러운 점은 이렇게 수세기동안 활약한 흉노.. 2018. 8. 2.
청나라 황제는 만주어를 썼을까, 한어를 했썼을까? 글: 기점문사(起點文史) TV드라마에서 인기있는 청나라궁중드라마를 보면, 우리는 황제가 조회에 참석하고, 대신들이 아뢰는 광경이 자주 나온다. 그렇다면, 통치자인 청나라황제는 조정에서 만주족과 한족이 섞인 대신들과 교류할 때, 어떤 언어를 썼을까? 만주어를 썼을까? 한어를 썼을.. 2018. 3. 21.
중국내에서 소실위기에 처한 수십종의 언어들... 글: 풍인(馮茵), 계걸(桂杰) 2004년 2월 16일, 미국과학계의 가장 성대한 활동인 과학촉진회가 시에틀에서 거행되었다. 회의에서 예일대학과 조지타운에서 온 몇몇 과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현재 각종 언어가 급속한 속도로 '사망'하고 있다고. 이미 알고 있는 세계의 언어는 6000여종인데, 연.. 2017. 2. 26.
광동어(粤語)가 중국고대의 표준말인가? 글: 정자녕(鄭子寧) 권총 한자루, 총알 한상자를 가지고 냉병기시대로 돌아가서 공을 세우는 것이 왕왕 네티즌들의 꿈이고, 이를 제재로 한 인터넷소설은 넘쳐 난다. 그러나, 진정 시공을 초월하려면 아주 높은 기술수준이 있어야 한다. 황제가 손목시계를 차고 있다던지, 한나라때 의자.. 2015. 1. 13.
두가지 유행: 어광(語狂)과 어장(語障) 글: 유재복(劉再復) <아주주간> 2001년 12월 16일자 10년전, 필자는 <어광(語狂)>이라는 글을 써서 <명보월간>에 발표했다. 비판한 것은 문화대혁명 기간중의 "일만번 발로 밟아서 영원히 다시 되살아나지 못하게 하자"는 등의 큰소리(大話), 미친소리(狂話)들이었다. 작년 가오싱.. 2013. 11. 24.
왜 진한(秦漢)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미(眉)"를 "미(麋)"라고 적었는가? 글: 양혜왕(梁惠王) 글자를 쓸 때는 간편한 것이 최고이다. 그래서 천백년이래 글을 쓰는 사람은 줄여서 편하게 쓸려고 한다. 다만, 예외도 있다. 예를 들어, "미(眉)"를 "미(麋)"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진한때 사람들이 자주 그렇게 했다. 수호지진간이건, 마왕퇴백서이건, 아니면 방마.. 2013. 5. 18.
"하(夏)"의 독음(讀音) 변화과정 글: 중화대(中華臺) 화하인의 역사는 단순히 관중, 혹은 중국, 혹은 동아시아에 국한되지 않는다. 남전인(藍田人)이 백만년이래 혹은 진가와인, 노지하인이 수십만년이래, 혹은 유소씨, 수인씨, 엄자씨, 화서씨가 십수만년이래 대대손손 지구의 구석구석 그 흔적을 남겼고, 화하문명은 전.. 2013.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