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학/문학일반60

금병매(金甁梅)의 진정한 저자는 누구인가? <<금병매>>는 명대사대기서(明代四大奇書)의 하나이고, 청나라때 소설점평가(小說點評家)인 장죽파(張竹坡)에 의하여 "제일기서(第一奇書)"로 칭송되는 작품이다. <<금병매>>는 <<수호전>>에서의 "무송살수(武松殺嫂)"의 장면에서 서문경(西門慶)을 주인공으로 하는 시정의 생.. 2006. 12. 3.
중국사대명저는 중국사회에 무슨 작용을 했는가 작자: 한진(韓進) =============== 스스로를 더욱 비하하는 사람일수록, 세상사람들에게 자신의 존귀함을 더욱 드러내고자 한다. 중화민족이 세계에 대한 공헌이 적으면 적을수록, 우리는 더욱 좋은 물건을 꺼내서 세상에 자랑하고자 한다. 사대명저는 우리가 끌어안고 있는 보배이다. 그러나, 사대명저는 .. 2006. 8. 24.
경극(京劇)은 죽음의 길로 들어설 것인가? 글: 北方可可 ============= 경극은 죽음의 길로 들어설 것인가? 지방희곡은 소리없이 사라질 것인가? 이 문제는 지금으로서 바로 그렇다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때문이다. 희곡의 관중은 대체로 19세기말이래로 계속 감소추세를 보여왔고, 지금은 사람들이 "구조"해야한.. 2006. 7. 23.
나관중의 삼국연의와 실제의 역사 사천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이며, 중국삼국연의연구회 상무부회장인 심백준은 삼국연의에 대한 20여년의 연구끝에 여러가지 재미있는 사실들을 찾아내었다. 그 중에 삼국연의에 의하여 잘못 알려진 세 가지를 아래에 소개하기로 한다. 첫째, 장비의 자는 익덕(翼德)이 아니라 익덕(益德)이다. 장기의 자.. 2006. 7. 20.
차를 마시는 3가지 경지 글: 吳淑平 ========= 나는 일생동안 특별한 취미가 없었고, 그저 두 가지를 좋아할 뿐이다. 적막과 품차(品茶, 차를 맛보는 것) 일찌기 어떤 동료는 내가 약간 고독하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러나 사실 그녀는 나를 잘 몰랐다. 고요한 것을 좋아하는 것과 고독한 것은 그 차이가 십만리 팔천리나 멀다. 고.. 2006. 7. 20.
당백호점추향(唐伯虎點秋香) 당백호는 명나라때의 유명한 강남제일의 풍류재자로서 그와 추향에 얽힌 이야기는 민간에서 구전되어 전해지고 있다. 소위 당백호점추향, 삼소, 삼약목단정등의 이야기가 그것이다. 당인(唐寅)의 자(字)는 백호(伯虎)이다. 문징명(文徵明), 축지산(祝枝山)과 함께 유명한 오중(吳中)의 재자(才子)였다. .. 2006.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