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崇少林, 南尊武當" (북에는 소림이 숭상받고, 남에는 무당이 존중받는다)
무당파는 중국 고대의 하나의 중요한 무학문파이고, 유명한 소림사와 더불어 이름을 떨치고 있다. 양파는 합쳐서 중화무술의 양대산맥으로 불리운다. 무당파의 무공의 특색은 "이정제동"(以靜制動,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움직이는 것을 제압한다), "이유극강"(以柔克剛, 부드러움으로 굳셈을 이긴다)이다. 무당파의 원류는 아주 복잡하여, 여러 사람들의 의견이 다투어지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무당파에는 크게 4개의 파가 있다고 한다. 즉 정을파(正乙派), 전진파(全眞派), 현무파(玄武派), 삼풍파(三豊派)가 그것이다.
무당 정을파는 일반적으로 외부에 전해지지 아니하고, 무당산 본궁의 용문내부에서만 이어지는 일파이다. 정을파의 "무당태극유박이십삼식(武當太極柔撲二十三式)"은 일찌기 김자기선생에 의하여 세상에 알려졌다. 김선생은 그의 사부인 이합림 도장에게 외부에 전하지 아니하겠다는 것을 서약하고서야 이 권법을 배울 수 있었다. 이합림 도장은 명나라 홍치연간(서기 1488-1504년)에 본궁용문 및 도가문파중의 토납술, 도인술, 기격술등을 합쳐서 "무당태을유박이십삼식"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 파에서는 "마음과 호흡이 서로 맞으며, 허리는 다리가 도는데 따르며, 운행은 느릿하고, 움직이고 멈춤이 자유자재이어야 한다" "움직일 때는 뱀이 가는 것과 같고, 발경은 누에가 꼬치를 짓는 것과 같다" "자리를 잡음에 있어서는 분촌호리를 따지고, 적을 제압함에는 잡고 밀고가두고 막는다." 기술의 면에서 보면 폭이 비교적 작고, 행동은 비교적 느리다. 비록 후대에서 이 무공을 계속 새롭게 고쳤지만, 여전히 강한 고전적인 특색을 지니고 있다.
무당전진파와 현무파는 모두 많은 권법과 검법을 가지고 있다. 많이 알고 있는 팔괘장(八卦掌), 태극권(太極拳), 형의권(形意拳) 및 어문권(魚門拳), 원유복지권(猿[犬+柔]伏地拳), 육보산수(六步散手)등 민간의 진귀한 권법이 모두 포함된다. 검법으로는 무당검(武當劍), 백홍검(白虹劍)등이 있다. 이 일파의 전수자는 매우 많다. 현존하는 의문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태극권은 진가구(陳家[水+勾])에서 발원한 것인지, 동해천(董海川)이 팔괘장을 창립하였는지등등이다.
역대로 무당파의 비조는 무당삼풍파로 인정된다. <<무당권법비결>>은 "본 무당삼풍의 요결은 무당의 정종이다"라고 하고 있다. 1928년 가을, 만뢰성 선생이 저술한 <<무당회종>>에서는 "무당종동현진인 장삼풍조사"라고 하고 있다. 배석영, 이춘생이 주편한 <<무당무공>>이라는 책에서는 명나라때의 장삼풍이 무당무술을 창립하였다고 적고 있다. 수백년의 변화를 거쳐, 무당무술은 가장 간단한 "팔문오수(八門五手)"의 13세(勢) 권법에서 오늘날까지 발전해오면서 많은 유파의 무술을 흡수하였다. 태극권, 팔괘장, 형의권, 무당태극권, 무당팔극권, 무당검, 현무곤, 삼합도와 용문십상창등이다.
어떤 사람은 사료에 나타나는 장삼풍에 대하여만 고증하여 연구한 후, 무당의 조사는 명나라때의 도인 장삼풍이 아니라 소림파에서 기원한다고 한다.
무당권법연구회와 일부 전문가들은 1999년초부터 개시한 발굴정리를 통하여, 100여개의 무당권법문파와 500여종의 권보를 기본적으로 확인하였다. 몇해동안 무당권법연구회와 무한체육대학의 일단의 전문가들은 민간에서 고찰하고, 탐방하며, 무술명인좌담회를 개최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많은 사료를 열람하고, 수백건의 비석탁본과 기록을 열람하였다. 정리한 자료는 모두 1000만여자에 이른다. 그들은 이상의 사실자료에서 무당조사인 장삼풍은 역사상 확실히 존재하였고, 또한 그가 제기한 "수내(守內), 숭실(崇實), 수성(修性), 건신(健身)"(내공을 닦으며, 실질을 숭상하고, 본성을 수양하며, 몸을 튼튼하게 한다)의 원칙하에서 무당권은 "태극설", "음양설", "오행설"등을 운용하여 더욱 발전하였고, "자연에 따라서, 고요함으로 움직임을 제압하고, 기술이 도의 경지에 이르도록 한다"는 특색을 형성하였으며, 무당파의 독특한 이론과 기술체계를 완비하였다.
'중국과 문학 > 무협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궁사(守宮砂)는 무엇인가? (0) | 2005.08.06 |
---|---|
한혈보마(汗血寶馬)에 관한 이야기 (0) | 2005.08.05 |
김용 : [위소보 이녀석] (5) (0) | 2005.07.19 |
김용 : [위소보 이녀석] (4) (0) | 2005.07.19 |
김용 : [위소보 이녀석] (3) (0) | 200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