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여포)

여포의 세가지 이슈: 여포기병의 말은 어디서 조달했을까?

by 중은우시 2017. 6. 21.

글: 뇌정직(賴正直)


2. 여포가 무슨 방법으로 기병의 군마를 조달했을까?


2-1 여포기병이 직명한 군마수량위기


모두 알고 있다시피, 여포의 부대는 기병으로 전투하는데 뛰어났다. 여포는 병주 오원군 구원현에서 태어났고, 오원군은 장성이북으로, 자고이래로 한인과 흉노가 전투를 벌이던 변방의 전선이다. 기풍이 용맹하고, 준마가 많이 나는 지역이다. 사람들은 모두 기마술에 능통하고, 여포 본인도, "활과 말을 잘 다루었으며, 팔힘이 남달라서 '비장(飛將)'이라고 불리웠다" 그중에서도 특히 뛰어난 인물이었다. 여포가 정원의 수하로 있을 때, 비록 문서를 주관하는 주부를 맡고 있었지만, 아마도 동시에 기병부대를 이끌고 있었을 것이다(유엽(劉曄), 왕릉(王凌), 동궐(董厥)은 모두 주부의 신분으로 병력을 이끌고 전투에 참가했다. 이는 문신과 무신이 구분되지 않았던 시대에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동탁에 투항한 후, 여포는 정식으로 기독(騎督)에 임명되어, 동탁이 정원으로부터 빼앗아 흡수한 병주기병을 지휘하도록 한다. 여포가 이각에게 패배한 후, 부대를 이끌고 무관을 나서 하북지역으로 간다. 이때까지도 상당한 수량의 기병부대를 보존하고 있었다. 복양(濮陽)전투에서 여포의 기병은 거의 조조를 생포할 뻔한다. 전적이 아주 휘황했다. 여포는 죽기 전에 조조에게 이렇게 말한다: "명공(明公)이 보병을 이끌고, 나 여포가 기병을 이끌면, 천하를 평정하는데 충분하다." 여전히 자신의 기병과 기병전술로 조조와 거래를 하고자 했다. 이는 계산에 밝은 조조의 마음을 한때 흔든다. 이를 보면 여포기병이 얼마나 강한지 충분히 알 수 있다.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말이 나는 지역은 동북(유주), 새북(병주), 서북(양주), 이 3개지방에서 대량으로 전투에 참가할 수 있는 좋은 말이 난다. 그리고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기병부대를 구성할 수가 있다.


여포가 정원, 동탁의 수하로 있을 때, 병주, 양주의 말을 얻을 수가 있었으므로, 기병부대를 유지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이각에게 패배하고, 무관을 나선 이후로, 여포는 병주, 양주에서 군마를 조달할 통로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여포는 먼저 원소에게 투항하는 것을 섵낵한다. 원소는 오환, 선비와 관계가 밀접했고, 병주의 대부분지역을 지배하고 있었으며 흉노와도 왕래가 있었다. 말을 사거나 말을 기르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러므로, 원소의 수하는 "정졸십만(精卒十萬, 기만필(騎萬匹)"이라고 불리웠다. 만명 규모의 대규모 기병부대가 있었던 것이다. 여포가 원소에게 투항할 때 첫번째로 고려한 것은 바로 원소는 군마조달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여포가 처음 이각에게 패배했을 때, "수백의 기병을 이끌고 무관은 나섰다." 이때 여포의 병주기병은 이각의 양주기병에게 패배하여 손실이 심각했다. 겨우 수백기가 남았다. 원소에 투항한 후, 여포는 원소의 부대와 합셔처 장연(張燕)을 격파한다. 장연은 "정예병사 만여명에 기병 수천"을 보유하고 있었다. 장연을 격패시킨 후, 여포는 장연의 일부 군마도 얻었을 것이다. 어느 정도 기병병력을 보충했을 것이다. 다만 그후 여포와 원소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어쩔 수 없이 남하하여 하내와 연주로 간다. 이때부터 안정적인 군마조달통로를 잃어버리게 된다.


여포는 조조와 연주에서 격전을 벌인다. 군마 손실이 적지 않았을 것이다. 여기에 당시 메뚜기떼의 창궐로 기근이 일어났다. 군바의 비전투손실도 엄중했을 것이다. 여포가 가진 병주기병중 아마도 우량의 종마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어린 말은 5년에서 10년의 훈련을 거쳐야 비로소 무장기병이 쓸 수 있는 군마로 성장한다. 여포가 관동을 전전한 기간은 바로 5년여이므로, 새로운 군마를 기르는데는 시간이 부족했다. 그리고, 여포는 대부분의 시간을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지경이었다. 여기에 재난까지 겹치니, 말을 기르는데 충분한 양초가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포의 기병규모는 계속 축소되는 것이 불가피했을 것이다.


원술이 기령(紀靈)을 파견하여 유비를 공격할 때, 여포가 원문사극(袁門射戟)으로 조정할 때, 이끌고 간 것은 "보병 천, 기병 이백"이다. 원술이 황제를 칭할 때, 여포는 그와 단교하고, 원술이 장훈(張勛)을 보내어 여포를 공격할 때, <후한서.여포전>에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당시 여포는 병력 3천, 말 4백필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보면 알 수 있다. 이때 여포의 수중에 있는 병력은 아주 적었다. 기병이 총병력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의외로 적었다. 겨우 수백필의 말을 가진 정도이다.


<삼국지.여포전>의 주석에 인용한 <구주춘추>는 재미있는 사건을 하나 기록하고 있다. 여포의 기장(騎將) 후성(侯成)의 목마인(牧馬人)은 말15필을 가지고 유비에게 투항한다. 후성이 추격하여 빼앗아 온다. 그러자 이에 대하여 여러 장수들이 후성에게 선물을 주며 축하하고 후성도 크게 연회를 열어 축하연을 벌인다.이는 나중에 후성이 여포와 관계가 악화되는 원인이 된다(이 일은 <삼국연의>에도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겨우 15필의 말을 후성과 여러 장수들이 그렇게 중시하다니, 이를 보면 당시 여포가 직면한 군마수량의 위기가 얼마나 심각했을지 알 수 있을 것이다.


2-1 여포의 북방군마무력통로를 뚫으려는 노력


여포는 서주를 기습하는데 성공한 후, 잠시 안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여포는 원술과 빈번하게 접촉하고, 쌍방간에 서로 오고가며 관계가 긴밀했다. 여포는 무엇을 도모했는가? 필자의 생각으로 여포가 원술과 잘 지낸 것은 북방에서 군마를 구매하려는 이유때문일 것이다.


원술에게는 두명의 중요한 맹우(盟友)가 있다. 하나는 공손찬(公孫贊)이고, 다른 하나는 "태산제장(泰山諸將)"이다. 공손찬은 유주(幽州)를 거점으로 하여 일찌기 "백마의종(白馬義從)", "돌기병(突騎兵)"등 정예기병부대를 핵심으로 하는 강력한 군사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의 당제(堂弟)인 공손범(公孫范)은 원소가 양보한 발해태수의 직을 가지고 있으며, 세력의 촉각을 청주(靑州)지역으로 돌렸다. "태산제장"은 청주 태산군을 활동중심으로 하는 군사집단이다. 수령은 장패(臧覇), 손관(孫觀), 오돈(吳敦), 윤례(尹禮), 창희(昌豨)등을 말한다. 그들의 활동범위는 태산군에 한정되지 않고, 청주, 서주의 두개 주에 걸쳐 있다. 중점은 태산, 제남, 북해, 낭야, 동해등의 군이다. 태산제장은 비록 하나의 느슨한 군사집단이지만 전투력은 아주 강했다. 창희는 나중에 조조에게 투항하기도 하고 싸우기도 해서 조조가 전후로 하후연, 장요, 우금등 중량급 대장을 보내어 토벌하여서야 비로소 평정한다. 창희의 군대 하나만으로도 이 정도의 전투력을 보이는데, 태산제장의 전체 실력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였던 것이다.


공손찬의 세력이 바래군을 통하여 청주로 들어갈 때, 태산제장의 지역과 합쳐서 하나가 된다. 공손찬이 있는 유주는 바로 군마가 많이 나는 지역이다. 공손찬은 규모가 큰 기병부대를 조직하였을 뿐아니라, 백마만을 뽑아서 만든 호화로운 "백마의종"이 있었다. 이를 보면 군마가 얼마나 많았을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여포가 연주, 서주에서 군마부족으로 고민하는 것과는 선명한 대비가 된다. 그래서 여포의 계산으로 원술과 가까이 지냄으로서 태산제장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나아가 발해군 혹은 해로를 통하여 공손찬이나 심지어 직접 오환, 선비로부터 군마를 구입하려 한다. 나중에 원술이 황제를 칭하면서 여포는 한 때 그와 단교한다. 그러나 얼마후 여표는 다시 "복반위술(復叛爲術)"하는데 아마도 군마를 사기 위함일 것이다.


그러나, 여포가 북방과 연결하여 군마를 매입하려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여포가 반복무상하다보니 그는 원술과의 관계가 안정적이지 못했다. 원술은 그에 대하여 이용하면서도 방비하는 태도였다. 원술의 태도는 태산제장으로 하여금 여포를 불신임하게 만들었다. 여포는 일찌기 친히 거현(莒縣)으로 가서, 태산제장들의 우두머리인 장패와 만나려고 했다. 장패등은 "오는 의도를 알 수 없어서 그를 만나는 것을 거절한다." 이를 보면, 여포는 시종 태산제장들과 협력하려고 했는데 성공하지 못했고, 군마를 매입하는 것도 결국 성공하지 못한다. 여포의 부대는 군마수량의 제한을 받아 기병작전의 우세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조조에게 패배하게 된 중요한 원인의 하나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