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분석/황자쟁위술

[황자쟁위술] 양호상쟁술(兩虎相爭術) 이적제적패(以敵制敵牌) 이원길편

by 중은우시 2015. 8. 25.

 

한나라에서 흉노를 대적할 때 집금오(執金吾) 경병(耿秉)은 이런 계책을 올린다: “옛날 한무제때 흉노를 정벌하려 하였으나 천시(天時)를 만나지 못해 성사시키지 못했습니다. 이제 다행히 하늘의 도움으로 흉노에 내분이 일어났으니, 이이벌이(以夷伐夷)를 하면 국가에 이로움이 적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며 남흉노를 도와 북흉노를 격멸시키는 것을 주장한 이래, 수당의 조정도 동서돌궐에 대하여 이이제이의 수법을 써서 서로 싸우게 한다. 안사(安史, 안록산, 사사명)의 난때도 당왕조는 회흘(回紇)의 병력을 빌려와 반군을 친다. 청나라말기의 지식인 위원(魏源)이 <해국도지>에서 내놓은 “오랑캐의 뛰어난 기술을 배워 오랑캐를 이긴다(師夷之長技而制夷)”는 전략이나, 청나라조정의 “이이제이” 혹은 “차병조초(借兵助剿, 서양군대를 빌려 태평천국을 진압한다)”는 모두 “이적제적”의 노선을 걸은 것이다.

 

황제의 자리를 놓고 다투는 황자들이 이적제적 전략을 자유자재로 운용하면, 다른 형제들이 서로 싸워서 힘을 소모하게 만들고 자신은 관망하다가 마지막에 어부지리로 황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황자들이 부친의 황위를 놓고 다투는 계승전은 어느 정도 전국시대 말기 여러 제후들이 벌인 합종, 연횡의 대혼전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들 중 비록 동모형제라 하더라도 진정한 동맹을 맺기는 어려웠고, 그저 서로 이용하는 관계일 뿐인 경우가 많았다. 황자들이 바라는 것은 경쟁의 혼란 속에서 다른 형제들이 황제의 눈밖에 벗어나 후계자의 자격을 잃게 되는 것이었다. 이렇게 하려면 심계(心計)가 필요하다.

 

당고조 이연과 적자중 셋째인 제왕(齊王) 이원길(李元吉)은 태자인 큰형 이건성(李建成), 진왕(秦王)인 둘째형 이세민(李世民)과 마찬가지로 두황후 소생이지만 아무리 따져봐도 황위는 그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적장자가 후계자가 되는 유교의 기본원칙에 따르면 이건성이 황제가 되어야 하고, 당나라건국의 공로로 따진다면 이세민의 공은 개세적이라, 자신보다 경쟁력이 있었다. 어느 기준으로 따지더라도 자신의 황위계승서열은 3위에 불과했다. 이 서열도 태자 이건성의 아들들 특히 적장손(嫡長孫)인 안륙왕(安陸王) 이승도(李承道)와 동생들은 고려하지 않을 경우이다. 이원길은 그래도 황제가 되려는 욕망을 버리지 않았다. 당시 삼형제의 상황은 정족지세(鼎足之勢)라 할 만했다. 어느 면으로 보더라도 그 중 2명이 결맹을 맺으면, 다른 1명은 정치, 여론, 군사실력의 모든 면에서 열세에 처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이건성과 이세민은 모두 이원길을 자기의 편으로 끌어들이려 한다. 이원길은 두 형의 실력을 비교분석한 후, 이건성의 승리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최종적으로 그를 선택한다. 물론, 그 전에 이건성으로부터 “황위에 오르면 너를 황태제(皇太弟)로 삼겠다”는 약속을 받아내는 것도 잊지 않는다.  그 후에, 이원길은 이세민만 제거하면 동궁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손쉬운 일이라고 판단하고, 이건성을 부추겨 바로 이세민을 공격하게 만든다. 이건성과 이세민의 싸움에서 만일 이건성이 승리한다면, 자신은 최고의 공로를 세운 것이 되어 황위를 노릴 수 있게 된다. 만일 이건성이 패한다면, 이건성의 태자당세력을 이기는데 이세민은 아마도 젖먹던 힘까지 다 썼을 것이므로, 그가 이세민을 물리치는 것도 어렵지않을 것이다. 이 두 가지중 어느 결과가 나오더라도 모두 이원길에게 유리했다. 그러나, 역사는 그가 원하는대로 흘러가지 않았다. 그는 현무문의 변으로 이건성과 함께 이세민의 칼아래 죽임을 당하고 만다.

 

옹정제(윤진)는 그 이전의 그 어느 황제들보다 어려운 황위계승전을 거쳐 황위를 차지한다. 그들 형제간의 황위계승전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했다. 당시의 윤진으로서는 격류의 와중에 스스로를 지키면서, 흐름에 뒤쳐지지 말아야 했는데, 그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러나, 윤진은 여러가지 책략을 활용하는데 능수능란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차적제적(借敵制敵), 즉 적의 힘을 빌어 또 다른 적을 물리치게 함으로써 경쟁자들을 하나하나 제거하는 것이었다. 강희47년 황태자 윤잉이 제1차폐위된 후, 다른 형제들이 모두 낙정하석(落穽下石,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던지다)으로 윤잉을 사지에 몰아넣고 있을 때, 윤진만은 윤잉의 편을 들어 윤잉이 다시 황태자의 자리로 복귀하도록 도운다. 그렇다고, 윤진이 황태자의 자리에 욕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윤잉이 황태자에서 물러난 후의 상황을 보면, 황장자 윤지, 황팔자 윤사의 기세가 너무 등등하여 윤진으로서 이들과 정면으로 맞서싸워서는 승산이 없다고 본 것이다. 만일, 윤잉이 배제된 상태에서 경쟁을 하게 되면 그가 황태자의 자리를 차지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그리하여 윤진은 윤잉이 다시 황태자의 자리에 오르도록 도와주어, 황태자로 복위한 윤잉이 황장자 윤지, 황팔자 윤사의 세력을 제거해주기를 바란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이렇게 함으로써 부친 강희제의 눈에 윤진은 형제간의 우애도 있고, 부친의 마음을 잘 헤아린다는 좋은 인상을 줄 수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