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문혁전)

송미령(宋美齡)의 마지막 30년

by 중은우시 2013. 12. 6.

글: 란혜(欒慧), 복창형(卜昌炯)

 

 

 

남편이 죽은 후 28년만에 송미령도 세상을 떠난다. 호평과 악평이 넘쳐나는 남편과는 달리, 사람들이 기억하는 그녀는 '퍼스트 레이디'의 우아함과 풍채일 것이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람들의 그녀에 대한 인식과 평가는 계속 갱신되었고, 그들이 송미령을 새로 끌어냈다가 다시 한번 그녀를 역사의 깊은 으로 밀어넣었다.

 

10월 24일은 송미령 서거 10주년 기념일이다. 10년이라는 기간은 한 사람을 더욱 낯설게 만들 수도 있고, 더욱 또렷하게 보이게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송미령에게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한편으로 그녀는 점점 잊쳐지고, 그녀를 모르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난다. 다른 한편으로 역사의 안개를 걷어낸 후 그녀의 개인가치는 점점 두드러진다.

 

영원한 퍼스트 레이디

 

거의 모든 송미령의 전기에서 송미령은 정치적 이상을 지닌 여성으로 그려졌다. 그녀가 장개석을 만난 후, 그녀의 포부의 일부분은 '퍼스트 레이디'라는 신분을 통하여 실현되었다. 도 다른 일부분은 장개석을 '개조'하는 동력이 된다.

 

송미령을 만나기 전에, 장개석은 그저 폭력적이고 조급한 군인이었다. 호색하고 술을 많이 마시고, 성격이 아주 나빴다. 이미 3명의 여인을 취했다. 그러나 그녀들에 대하여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듯했다. 송미령을 만난 후, 개인수양에서 생황방식까지 장개석은 모두 바뀌게 된다.

 

장개석을 아직 몰랐을 때, 송미령은 스스로의 애정을 추구한 바 있다. 그러나 집안 사람들의 반대에 부닥친다. 감정적으로 좌절을 겪은 그녀는 자신의 대학동창에게 보낸 서신에서 이렇게 썼다: "만일 사랑하는 사람에게 시집갈 수 없다면, 명(名)과 리(利)를 위하여 시집가겠다." 이것이 그녀가 장개석을 선택한 이유인지 아닌지는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다만, 이 혼인은 송미령 자신이 먼저 받아들인 후, 모친을 설득했다: "나는 정치적 포부가 있다. 정치적 재능도 있다. 장개석과 합작해야만 재능을 펼칠 수 있고, 포부를 실현하고, 중화를 수화(水火)에서 구해낼 수 있다."

 

중국근현대사상 가장 유명한 '퍼스트 레이디'는 이리하여 등장한다. 그녀와 상관있는 중요한 역사적 순간이 계속 전개된다.

 

1934년, 서방문화의 훈도를 깊이 받은 송미령은 장개석의 지지하에 '신생활운동'을 전개한다. 그 뜻은 '중국국민의 습성을 개조'하는데 있었다.

 

항전이 가장 곤란할 때, 송미령은 요람시기에 처한 국민당 공군을 조직한다. 그리고 미국공군 대령 진납덕(陳納德, Claire Lee Chennault)을 비호대(飛虎隊) 대장으로 하여 큰 돈을 주고 미국공군 퇴역인원을 모셔온다.

 

송미령이 많은 심혈을 쏟은 공군은 송미령에게 일생의 자랑이었다. 그녀는 자주 신문원고에서 "나의 공군"이라고 칭하곤 했다. 그리고 중요한 경우나 공개연설을 할 때면 공군비행휘장을 패용했다. 1943년 2월 미국국회에서의 연설때도 마찬가지였다.

 

이것은 그녀가 국제적인 명망을 얻은 등장이었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항전원조를 획득하기 위하여, 1943년 2월 18일, 송미령의 연설은 라디오를 통하여 전미국에 중계된다. 그리하여 미국민중의 강렬한 호응을 얻어낸다.

 

이해 12월, 송미령의 알선하에, 장개석은 중,미,영 3대국 카이로회담에 참석한다. 그녀는 장개석의 조수 겸 통역으로 출석한다. 그 결과 카이로회담의 "제4의 거두"라고 농담처럼 칭해지기도 했다.

 

천각일방(天各一方)의 자매

 

"퍼스트 레이디"가 지고무상의 권력과 영예를 가져다 줄 때, 그녀와 송경령(宋慶齡) 간의 자매의 정은 되돌아올 수 없이 파괴된다.

 

1981년 5월 29일, 송경령이 베이징에서 사망하였다. 중국정부는 송미령을 포함한 타이완과 해외의 송씨가족에게 초청장을 보내어 장례에 참석하기를 희망했다. 장경국 정부에서의 "삼불정책(三不政策)"으로 인하여, 타이완 전보국은 이 전보를 접수하지 않는다. 송미령도 아무런 의사를 표시하지 않는다.

 

송미령이 마지막으로 송경령의 얼굴을 보고 싶지 않았던 것은 아니고, 베이징으로 간다면, 그것은 구천지하의 망부를 배신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었다.

 

송경령이 사망한 다음 날, 송미령은 장경국에게 전보를 보낸다: "골육이 가깝지만, 대의를 중시해라(骨肉雖親, 大道爲重). 우리는 몸가짐이나 일을 할 때, 하느님, 국가,민족 및 총리주의, 부친의 하늘에 있는 영혼에 부끄럽지 않아야 하고, 다른 것은 모두 얘기할 것이 없다."

 

그녀는 10살 때, 둘째 언니 송경령과 함께 미국으로 공부하러 가서, 같이 먹고 같이 살았다. 나중에 부모로부터 송경령과 손중산의 결혼에 대한 반대에 부닥쳤을 때, 송미령은 송경령의 편을 확실히 들어준다. 지금 그 언니가 세상을 떠났으니, 그녀의 마음이 아프지 않을 리 없다. 홍콩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송미령은 송경령의 병이 위중하다는 소식과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여러번 눈물을 흘렸고, 그녀를 위하여 하느님에게 기도했다고 하였다.

 

그외에, 송미령은 출처불명의 이런 말을 남겼다: "나는 원래 이런 상황에 깜짝 놀랄 필요는 없었다. 둘째 언니는 오랫동안 병석에 있었고, 그것은 비밀도 아니었다. 내가 깜짝 놀란 것은 그녀가 영원히 떠나갔다는 것은 그녀가 떠나면서 나에게 고독을 남겨주었기 때문이다. 다행히 고독에는 기한이 있다. 다시 만날 것을 기다릴 수 있다....이제, 멀리 고국을 바라보며, 나는 더 이상 눈물도 나오지 않는다. 남은 것은 사랑하는 마음뿐이다. 이 사랑하는 마음은 그저 꿈 속에서 바칠 수 있을 뿐이다."

 

담담한 말에서 자매간의 정이 흐른다. 그녀의 고향에 대한 복잡한 심정도 엿볼 수 있다. 1948년말 상해에서 미국으로 지원을 요청하러 간 후, 송미령은 다시는 중국대륙을 밟지 않았다. 이국에서 55년간 생활하면서, 송미령이 고향을 그리는 정이나 고국에 대한 감정을 표시한 경우가 드물었다. 매번 연설을 하거나 글을 쓰면서 대륙을 언급할 때면 "반공대륙(反攻大陸)"이라는 말을 가장 많이 사용했다. 이것은 부군의 유언이고 나중에는 그녀의 유감이 된다.

 

"나는 다시 일어난다"

1986년 장새걱탄신 100주년 전날, 송미령은 11년의 은거생활을 끝내고, 타이완으로 돌아온다. 이어지는 몇년간, 그녀는 남아있는 영향력을 이용하여 남편이 남긴 정치적 유산을 좌우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녀는 이때 인생최대의 좌절을 맛본다.

 

이때의 타이완은 변혁기였다. 질병을 앓고 있던 장경국은 타이완에 민주정치의 길을 닦아줄 생각이 있었다. 여러가지 저항 및 시간과 싸움을 벌이고 있는 중이었다. 그래서, 송미령이 타이완으로 돌아온 것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해석이 뒤따랐다. 어떤 사람은 장경국의 건강상황이 좋지 않은 것 및 누가 타이완이 후계자가 될 것인가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의심했다. 어떤 사람은 장경국의 계엄해제가 국민당 원로파의 불만을 사서, 그녀가 타이완으로 돌아와 각 방면의 관계를 조정했다고도 한다.

 

어찌되었건 89세의 나이로, 대부분의 시간을 휠체어에서 보내는 송미령은 타이완에서 무시할 수 없는 존재이다. 장개석탄신100주년 기념대회때, 송미령은 장경국의 부축하에 치사를 한다. "중화민족이 대대손손 더많은 자유와 행복을 누리기"를 바랐다. 그날 그녀는 기념글 <나는 다시 일어난다>를 발표하여, 기독교의 박애, 관용, 인내정신을 나타내고, 그녀의 장개석에 대한 애도의 뜻을 표했다.

 

송미령이 타이완에 돌아온 후, 확실히 그저 놀지는 않았다. 여러번 타이완 당정군의 고위급인물들을 만나고, 그들로부터 정국변화 및 혁신에 관한 의견을 듣는다. 이것은 타이완이 개방된 정치체제로 가기를 기대하는 일부 매체의 불만을 샀다. 다만, 송미령도 적극적인 일면을 발휘한다. <뉴욕타임즈> 1986년 12월말의 한 기사에서는 송미령이 당금(黨禁)을 개방하고, 계엄을 해제하는데 반대하지 않고 오히려 그년느 '정치민주화노선'을 지지한다고 하였다.

 

1988년 1월, 병마와 여러해동안 싸우던 장경국이 병사한다. 국민당내 각파는 비록 리덩후이(李登輝)를 '부총통'에서 '총통'을 승계하도록 하는 문제에는 의견일치를 보았지만, 누가 국민당주석을 맡느냐는 문제를 놓고 격렬한 투쟁을 벌였다.

 

송미령을 정신적 지도자로 하는 원로파들은 '행정원장' 위궈화(兪國華)를 국민당주석에 올리고자 했다. 국민당 제13차당대회에서 송미령은 친히 등장하여, 리환(李煥)으로 하여금 <노간신지(老幹新枝)>라는 연설원고를 읽게 한다. 이 연설은 원로파의 반박선언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효과는 한계가 있었고, 타이완정국을 바꾸지는 못한다.

 

'1개중국'의 입장을 견지하던 그녀는 국민당이 '타이완독립'을 주장하는 리덩후이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 송미령은 '1개 중국'에 대한 견지는 1970년대초 그녀가 타이완을 유엔회원에서 퇴출하도록 신청한데서도 나타난다. 어떤 사람은 대륙, 타이완이 같이 유엔에 가입하자고 하였다. 장개석은 이 방안을 받아들이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송미령은 동의하지 않았다. "사람에게는 인격이 있고, 나라에는 국격이 있다" 그녀의 말이다. 중국이 분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타이완은 결국 물러나게 된다.

 

안녕, 타이완

 

비록 모질(耄耊, 8,90세)의 나이에 들어서서 행동은 어려워졌지만, 일부 중요한 정치적인 행사에는 송미령이 그래도 얼굴을 그러냈다.

 

그녀 인생의 마지막 10년동안 그녀의 청력, 언어, 사고기능은 현저히 하락한다. 그녀는 자주 누가 누구인지를 구분하지 못했고, 자신이 햇던 말을 계속하여 반복했다.

 

그러나, 그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그녀가 출석하는 것을 선택했다.

 

1995년 여름, 98세의 송미령은 "2차대전후 남아있는 유일한 주요인물"이라는 신분으로 2차대전 승리 50주년기념식에 참석한다. "송미령은 홍색, 흑색의 비단 치파오를 입고, 옥귀거리를 한다. 그리고 솔더를 걸치고, 특별히 만든 의자에 앉아 있었고, 2분간의 연설을 한다. 미국의 전기작가 파큘라는 <송미령전>에서 이렇게 썼다: "모두 주목했다. 위원장이 미망인은 비록 젊은 가족의 부축을 받았지만, 자신의 두 다리로 걸어서 회의장에 들어왔다."

 

다음 해,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서 개최한 "타이페이고궁박물원" 진품출국특별전의 예비전시회장에서, 사람들은 다시 송미령을 본다. 어떤 사진기자는 그녀에게 흥미를 나타내고 그녀를 쫓아다녔다. 그러자 그녀가 불쾌해 하면서, "한때 그의 카메라를 깨버리겠다고 말한다."

 

외조카 콩링이(孔令儀)가 털어놓은 바에 따르면, 송미령은 생전에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사후에 상황이 허락하면, 상하이로 가서 모친 예계진(倪桂珍)과 함께 묻어달라고. 다만, 결국 그녀는 뉴욕시 북쪽의 펀클리프(Ferncliff) 묘원에 묘지를 사서 그녀의 동생 송자문(宋子文), 언니 송애령(宋靄齡) 및 언니의 남편 공상희(孔祥熙)등과 함께 묻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