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흑룡강12

만주에서의 일본군 매춘업내막: 일본에서 7만기녀를 수입하다 작자: 미상 20세기말, 한 중국의 역사학자는 자료를 정리하다가, 우연히 아말리도 비스파라는 이탈리아간첩이 1930년대에 쓴 자술서를 발견한다. 자술서는 상세하고 진실되게 그가 중국의 만주에 있는 동안 일본군을 위하여 일하고, 나중에는 중국항일유격대를 도와준 파란만장한 경력을 .. 2016. 1. 7.
1685년 야크사(雅克薩)전투: 청과 러시아의 충돌 글: 손월(孫越) 1676년 러시아특사 미리에스쿠는 북경에서 러시아로 돌아와서 짜르에게 보고한다. 빨리 군대를 보내어 중국을 평정하라고. 가히 광망하기 그지없는 자였다. 그후 비록 러시아가 미리에스쿠의 말을 가볍게 믿어 대군을 파견하지는 않았지만, 계속하여 중국흑룡강유역에서 .. 2015. 1. 14.
중국은 어떻게 흑룡강 출해구(出海口)를 상실했는가? 글: 손월(孫越) 적지 않은 역사서에는 중국과 러시아가 <네르친스크조약(중국명 '니부추(尼布楚)'조약)>을 체결한 후 양국은 200년동안 평안무사했다고 적고 있으나, 기실 그렇지 않다. 실제로 러시아는 네르친스크조약을 체결한 후, 계속하여 흑룡강 출해구, 태평양연해지구에서 추크.. 2015. 1. 14.
1650년 짜르는 왜 중국에 선전포고했는가? 글: 손월(孫越) 중국-러시아 변경관광프로젝트중에 일찌감치 하바로프스크시를 관광하는 것이 있었다. 그 곳은 바로 중국인들이 가슴아파하는 백력성(伯力城)이다. 하바로프스크의 기차역광장에는 하바로프(1603-1671)의 조각상이 서 있는데, 러시아인들은 그를 하바로프스크의 창시자라.. 2015. 1. 1.
17세기 중국과 러시아의 대결 글:손월(孫越) 17세기 중엽, 코사크는 중국변방을 침범하고 괴롭혔는데 갈수록 심해졌다. 1652년 4월 3일 새벽, 중국과 러시아는 흑룡강 우자라촌(烏扎拉村)에서 격전을 벌인다. 중국의 통치자는 마침내 북방의 외환을 의식하게 된다. 1653년 6월 청나라정부는 수군과 기병을 송화강으로 .. 2014. 12. 12.
중저량(中儲糧)은 고대의 상평창(常平倉)만 못하다. 글: 섭단(葉檀) 흑룡강 임전(林甸)의 큰 불은 중저량의 관상곤경을 드러냈다. 중저량은 봉건시기 상평창의 복사판이다. 원래의 뜻은 거의 일치한다. 서주(西周)때부터 시작하여 각 왕조는 양식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지에 상평창을 건설했고, 풍년과 흉년의 양식가격을 조절했다. 양.. 2013.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