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노51 진승오광의 난때 진나라의 정예부대는 왜 출동하지 않았을까? 글: 역사유희유비(歷史有喜有悲) 진나라는 천하를 통일하여 당시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제국을 창건했고, 중국의 역사발전에 중대하고 심원한 영향을 끼쳤다. 당시 진나라의 유명한 4대군단은 제국의 역사상 무시할 수 없는 작용을 발휘했다. 그러나, 진승오광의 난때, 백만의 진나라 정예병사들은 왜 출동하지 않았던 것일까? 최정예부대는 국외에서 전투를 벌이고 있었다. 기원전209년 가을, 대택향(大澤鄕)에서 진승, 오광이 이끄는 진나라말기 농민의 난이 발발한다. 그러나, 대진제국의 수도방어전에서 반란군에 저항한 부대는 죄수와 소수의 수도어림군으로 구성된 잡패군(襍牌軍)인 여산군단(驪山軍團)이었다. 진나라가 육국을 멸망시킬 때의 백만정예병사들은 모두 어디로 갔단 말인가? 원래, 육국을 멸망시키고 천.. 2024. 2. 29. 미중쟁패: 한흉(漢匈)쟁패역사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 글: 공손책(公孫策) 미국이 중국에 정식으로 무역전을 전개한 후, 중국의 태도는 양보하지 않았지만, 마음 속으로는 대항하기에는 힘이 부족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관찰가들은 대부분 현단계에서 장악하고 있는 자원과 가용한 무기/수단을 가지고 분석한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역사의 경험을 가지고 장기간으로 종심을 늘이는 방법을 시험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양강쟁패의 가능한 결과를 생각해 보는 것이다. 한흉쟁패100년 여기에서 비교대상으로 삼을 시기는 기원전200년부터 기원전100년까지의 100년간이다. 배경은 흉노칸국과 진,한제국의 쟁패이다. 그 이전에 중국은 전국시대였고, 북방초원민족은 '호(胡)'로 통칭되었다. 진(秦), 조(趙), 연(燕)은 모두 장성을 건설하여 호인을 막았다. 진시황은 천하를 통.. 2020. 10. 9. 왜 한무제는 <춘주공양전>을 숭상하고, 한선제는 <춘추곡량전>을 숭상했을까/ 글: 국학분사단(國學粉絲團) <춘추(春秋)>는 유가의 '오경(五經)'중 하나로 공자가 편찬한 것이다. 우리가 보기에 그거은 그저 하나의 사서(史書)이다. 모두 그 내용을 많이 알지는 못하고 있을 것이다. 다만 고대에 <춘추>의 지위와 역할은 우리의 상상을 훨씬 초월한다. 고대인들.. 2019. 9. 16. 중국상고시대의 3대호수 글: 천지사화(天地史話) 중국에서 현존하는 최대의 호수는 청해성의 청해호(靑海湖)이다. 수역면적은 4,583평방킬로미터로, 2위인 강서성의 파양호(鄱陽湖)는 최대수역면적이 약 4,000평방킬로미터이다. 그러나, 세계 호수랭킹을 따지ㅈ자면 이 두개의 호수는 모두 30위밖에 놓인다. 세계에.. 2019. 7. 18. 장사왕(長沙王) 오예(吳芮): 서한 8명 이성왕(異姓王)중 유일한 생존자. 글: 지봉간적역사(指縫間的歷史) 서초패왕 항우를 이기고 서한왕조를 건립한 후, 한고조 유방과 여후는 이성왕을 제거하기 시작한다. 분봉을 받은 8명의 이성왕(연왕 2명)중 7명은 피살되거자 제거된다. 단지 장사왕 오예만이 화를 면하고 선종하였다. 오예는 왜 운좋게 한고조의 독수를 .. 2019. 4. 21. 궐특근비(闕特勤碑): 한어와 돌궐어로 전혀 다르게 쓰여진 비문 글: 천지사화군(天地史話君) 유라시아대륙의 북방대지에는 많은 유목민족이 활약했다. 서부는 흉노(匈奴)의 지계(支係)가 동부는 동호(東胡)의 지계가 있었다.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부락과 민족이 상호 융합하면서 전후로 흉노, 선비, 유연등의 민족이 흥기했다. 수당시기에, 돌궐인이 .. 2019. 2. 26.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