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귀비10

건륭제 후궁의 여섯 장문인(掌門人) 글: 명청사화(明淸史話) 얼마전에 TV드라마 <연희공략(延禧攻略)>과 <후궁(后宮) 여의전(如懿傳)>이 인기리에 방영도었다. 사람들은 그리하여 건륭제의 후궁에 관심을 갖게 된다. 확실히 건륭제의 후궁은 청나라 역대 후궁중 가장 다채로왔던 때이고, 여러 미인들이 총애를 다투었.. 2019. 1. 13.
명왕조 4대총비 (3) 정귀비(鄭貴妃): 글: 접련화(蝶戀花) 정귀비는 만귀비와 마찬가지로 총애를 믿고 발호한 총비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만력제는 9살때 등극했고, 나이어린 만력제를 잘 기르기 위하여 생모인 이태후(李太后)는 건청궁(乾淸宮)으로 거처를 옮겨 아들 만력제와 같은 침대에서 잠을 .. 2018. 10. 1.
명왕조 4대총비 (2): 만귀비(萬貴妃) 글: 접련화(蝶戀花) 명나라의 황후는 절대다수가 모두 평민출신이다. 단지 2명의 신분이 고귀했다. 한 명은 주체의 황후인 중산왕 서달(徐達)의 딸인 서씨이고, 또 다른 한 명은 명헌종(明憲宗)의 폐후(廢后)인 회녕후(懷寧侯) 손당(孫堂)의 외생녀(外甥女) 오씨(吳氏)이다. 주체와 서황후는.. 2018. 9. 30.
왕가씨(王佳氏): 청나라역사상 유일하게 3번 봉호(封號)를 바꾼 비빈 글: 소몽(蕭夢) 대청의 후궁은 일반적으로 승급하거나 강급하더라도 봉호는 변하지 않았다. 다만 한 대청의 후궁비빈은 이 법도를 바꾸었다. 그녀는 귀인(貴人)에서 비(妃)로 3번이나 승급하였는데, 봉호도 3번이나 바뀐다. 이는 대청역사상 유일한 경우이다. 그녀는 바로 가경제(嘉慶帝).. 2017. 12. 7.
[황자쟁위술] 이세탈인술(以勢奪人術) 천사재화패(天賜才華牌) 혁흔편 청나라 도광제 민녕(旻寧)이 누구를 후계자로 할지 고민할 때, 그의 9명 아들중에서 3명은 이미 요절했고, 3명은 나이가 너무 어리며, 1명은 후사가 없는 다른 형제에게 양자로 보내어, 후보로 남은 아들은 황사자 혁저(弈詝)와 황육자 혁흔(弈訢)의 두 명이었다. 혁저는 위의.. 2015. 10. 11.
강희제의 딸들 글: 문재봉(文裁縫) 강희제는 20명의 거거(格格, 공주)를 낳았다. 이들 거거는 남권위주의 사회에서, 중시되지 못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고 강희제는 자신의 딸들에게 큰 사랑을 쏟았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알 수 있다: 그의 성년이 된 거거들은 비교적 늦게 시집보낸다. 전.. 2013.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