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25 "읍참마속(泣斬馬謖)"은 역사적 사실인가? 글: 이자지(李子遲) "제갈량휘루참마속(諸葛亮揮淚斬馬謖)"음 명청(明淸) 장회소설(章回小說) <삼국연의>에서 가장 유명한 대목중 하나이다. 여기에 앞의 '실가정(失街亭)'과 뒤의 '공성계(空城計)'까지 합쳐서 3부분을 합치면 희곡(특히 경극) 무대에서 가장 많이 공연되는 대표적인 .. 2018. 5. 8. 위촉오 삼국의 영토와 인구비교 글: 문철(文哲) 1. 영토수치 위나라의강역은 전체 화북지역을 점유하고 있다. 북으로는 산서, 하북 및 요동에 이르고 남흉노, 선비 및 고구려와 이웃하고 있다; 동남으로는 손오와 장강, 회하일대 및 한강, 장강 일대에서 대치하고 있고; 서로는 감숙에 이르러 하서선비, 강(羌), 저(氐).. 2017. 12. 22. 유비와 제갈량은 왜 형주의 관우를 도와주지 않았을까? 글: 화운초(和運超) 유비가 서천을 공격하여 취하는데 거의 4년이 걸렸다(210년-213년). 건안20년(215년), 유비는 이미 익주를 완전히 점겨한다. 손권은 다시 형주를 달라고 하고 쌍방은 서로 양보하려 하지 않았다. 이때 조조는 기회를 틈타 서쪽으로 마초, 한수를 공격하여 승리를 거둔다. 마.. 2017. 9. 3. 적벽대전에서 승리한 후 왜 손권은 조조에게 투항했는가?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적벽대전 이전에, 동오의 대부분 관리는 모두 손권에게 조조에 투항하라고 권했다. 왜냐하면 당시 쌍방의 역량이건 전쟁형세이건 모두 조조에 유리했기 때문이다. 다만, 손권은 노숙의 건의하에, 조조에 맞서싸우려는 결심을 한다. 그리고 주유의 주장하에 동오.. 2016. 1. 19. 마초(馬超)는 왜 촉에 귀순한 이후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는가? 글: 노홍(盧虹) 그는 일찌기 여포(呂布)와 나란히 이름을 떨쳐, "한말쌍절(漢末雙絶)"이라 불리웠다. 그는 자신의 용맹으로 병력을 이끌고 조조의 군대에 맞서서 조조의 군영을 박살내고 하마터면 조조의 목숨까지 빼앗을 뻔했다. 삼국의 영웅인물을 얘기하자면 사람들은 모두 그 얼굴은 .. 2015. 12. 30.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진상 글: 생활문적(生活文摘) 마속의 죽음을 얘기하자면, 역대이래로 사람들은 마속이 가정(街亭)의 패배이후, 제갈량의 본영으로 돌아와 부형청죄(負荊請罪)한다. 결국 제갈량은 눈물을 흘리며 마속을 벤다. 경극 <실가정(失街亭)>이 바로 이 이야기이다. 이런 인상은 기실 나관중의 <삼.. 2015. 2. 1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