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국장16 유희규(劉喜奎): 민국총통 5명의 구혼을 거절한 대미녀 글: 하호연(夏浩然) 민국시대의 여배우 유희규는 5명의 총통에게도 시집가지 않고, 오히려 하급군졸 최승치(崔承熾)에게 시집간다. 그 원인은 최승치가 신문에 그의 상사의 부정부패행위를 폭로하여 민중의 호평을 받았기 때문이다. 유희규는 이 남자가 할말은 다 하는데 탄복하여 그에.. 2015. 2. 10. 중국정치에서의 "악수" 작자: 미상 악수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예절이다. 그러나 정치생활에서 악수는 특수한 의미를 지닌다. 일대위인 등소평은 파란만장한 정치역정에서 두번의 유명한 "No악수"회의를 개최한다. 첫째는 해방전쟁의 중요한 순간인 1946년 9월 10일이고, 둘째는 문혁기간동안 전면정돈.. 2014. 11. 26. 민국시대의 파벌 글: 녕녕(寧寧) 민국시대를 얘기하자면, 파벌을 얘기해야 하지 않으면 민국을 이해했다고 할 수 없다. 파벌을 얘기하자면, 육영정(陸榮廷)을 얘기하지 않으면, 파벌을 이해했다고 할 수 없다. 육영정이 광서(廣西)를 십년간 통치할 수 있었던 것은 민국의 파벌이 난립한 배경과 관련이 있.. 2013. 8. 5. 장훈복벽(張勛復辟)사건의 진상 글: 풍학영(馮學榮) 근대사의 여러가지 사건은 흑막이 겹겹이 쳐져 있다. 장훈복벽사건도 예외는 아니다. 장훈이라는 사람은 중국근대사상 나쁜 놈의 역할을 했다. 그러나 필자가 확보한 원시자료에 따르면 전혀 다른 진상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필자는 먼저 배경을 얘기해야 한다. 1.. 2013. 4. 26. 청나라 유신(遺臣): 투항할 것인가 말 것인가? 글: 김만루(金滿樓) 청나라황제의 퇴위조서가 발표되는 날, 황권청등(黃卷靑燈) 아래, 두 전통적인 사대부인 정효서(鄭孝胥), 운육정(惲毓鼎)은 서재에 앉아서 통곡하며 눈물을 흘렸다. 그날, 정효서는 "새벽같이 일어나서, 침상에서 일어나서 좌불안석하며, 식사를 해도 맛을 느끼지 .. 2012. 9. 18. 단기서(段祺瑞): 그는 어떻게 북양정부의 2인자가 되었는가? 글: 왕사군(王仕軍) 단기서(돤치뤼)는 북양군벌사상 명성을 떨치면서 논쟁이 있는 인물이다. 그의 굴기는 비록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어떤 각도에서 분석하더라도, 대포(大砲)와 긴밀하게 관련있다. 그는 대포로 인하여 유명해진 인물이라고 해도 될 정도이다. 어렸을 때의 단기서는 .. 2012. 3. 1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