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평36

진사경(陳嗣慶): 우리집 둘째 삼모(三毛, 싼마오) 글: 진사경(陳嗣慶) 나의 딸 진평(陳平)의 원래 이름은 진무평(陳懋平)이다. "무(懋)"는 집안에서 그녀 대의 항열자이고, "평(平)"자는 그녀가 태어난 해는 전쟁이 빈번하고 부친으로서 이 세계에 전쟁이 사라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아이에게 "평화(和平)"의 사명을 준 것이다. 나중이 이 아이는 글자를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그녀는 어떻게 해도 "무(懋)"자를 쓰지 못했다. 매번 이름을 쓸 때면 모두 가운데 글자를 빼버리고 자기를 "진평"이라고 했다. 그뿐아니라, "진(陳)"자의 왼쪽 변을 오른쪽으로 옮겨서 오른쪽에 썼다. 그렇게 되니 부친으로서 나는 항복할 수 밖에 없었다. 그녀가 스스로에게 새로운 이름을 지은 것은 23살때였다. 나중에 나는 그의 동생들에게서도 모두 "무(懋)"자를 빼버렸다. 한해는.. 2022. 9. 2.
한혜제(漢惠帝) 유영(劉盈)은 6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왜 동생 유항(劉恒)에게 황위가 넘어갔을까? 글: 조문사(朝文社) 한혜제 유영이 재위하던 기간동안 비록 명목상으로 황제였지만, 사실상 권력자는 모친인 여후(呂后)였다. 유영이 사망한 후, 전소제(前少帝) 유공(劉恭), 후소제(後少帝) 유홍(劉弘)이 전후로 즉위한다. 비록 이들 둘은 허수아비라고 하기에도 부족하지만, 어쨌든 황제에 오르긴 한다. 사료에 따르면, "밤에, 각각 사람을 나누어 양왕(梁王), 회양왕(淮陽王), 상산왕(常山王)과 소제(少帝)를 자택에서 주살했다." 바꾸어 말하면, 유영의 6명 아들 중에서, 2명은 황제에 올랐다. 전소제 유공을 제외한 나머지 5명은 모두 반여집단(反呂集團)의 손에 죽임을 당한다. 마지막에는 반여집단의 진평(陳平), 주발(周勃)등의 옹립하에, 한문제(漢文帝) 유항(劉恒)이 즉위한다. 그렇다면, 왜 유영의 남은 .. 2020. 11. 25.
한신(韓信)이 스스로 왕에 올랐다면 삼족정립(三足鼎立)이 이루어졌을까? 글: 직하서생(稷下書生) 기원전203년, 초한지쟁의 관건적인 해이다. 이 해에 한신은 한군(漢軍)을 이끌고 유수(濰水)를 건너 초군(楚軍)의 일부를 격패시키고, 초군대장 용차(龍且)를 죽인다. 당시 한왕(漢王) 유방과 초왕(楚王) 항우는 양하(陽夏)의 남쪽에서 대치하고 있었다. 유방은 한실.. 2019. 1. 26.
유장(劉章): 감히 여후와 맞서싸우다 글: 두문자(杜文子) 유방이 죽은 후, 여후의 권력은 날이갈수록 커졌다. 한헤제가 붕어한 후, 한나라는 마침내 여치(呂稚, 여후의 이름)의 시대를 맞이한다. 여씨일족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여후는 한편으로 여러 여씨를 후(侯)와 왕(王)으로 봉하고, 다른 한편으로, 여러 여씨여자.. 2018. 7. 23.
주아부(周亞夫): 반란평정의 공신이 왜 굶어죽어야했을까? 글: 호설역사(胡說歷史) 한경제(漢景帝) 시기에 수십년간 발전을 거친 제후국은 점점 교만해지고, 불법을 저지르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리하여 점점 조정의 심복지환으로 된다. 기원전154년, 한경제는 자신의 스승인 조착(晁錯)의 <삭번책(削藩策)>의 건의하에, 전후로 조서를 내려, 초.. 2018. 7. 13.
여록(呂祿)은 여후(呂后)의 유언중 어떤 것을 따르지 않아 전패하게 되었는가? 글: 찰감(察鑒) 기원전180년 7월, 여치(呂稚, 여후)의 병이 위중해진다. 그녀는 죽기전에 여씨친족들을 불러모아서 유언을 남긴다: "예전에 한고조(유방)께서 천하를 평정할 때, 일찌기 여러 대신들과 약조한 바 있다: '유씨성이 아니면서 왕에 봉해지는 자가 있으면 천하인이 함께 그를 죽.. 2018.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