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교병변17

조광윤은 주세종의 아들들을 어떻게 하였는가? 글: 왕국동(王國棟) 960년, 조광윤은 진교병변으로 후주(後周)의 강산을 빼앗아 북송(北宋)정권을 건립했다. 그러나 후주세종 시영(柴榮)의 가족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는 그의 큰 난제였다. 주세종 시영에게는 7명의 아들이 있었다. 장남 시종의(柴宗誼), 차남 시종성(柴宗誠), 삼난 시.. 2018. 12. 2.
진박(陳搏): 화산파의 조사로 알려진 그가 진교병변(陳橋兵變)의 기획자인가? 글: 취역사(趣歷史) (진박은 무협지에서 화산파의 조사로 알려져 있다) 사료에서 아주 재미있는 기록을 보았다. <소씨견문록>에 따르면, 진박은 일찌기 흰색나귀(白騾)를 타고 수백명의 떠돌이소년을 데리고 변량성(汴梁城)으로 들어가려고 했다. 도중에 돌연 놀라운 소식이 전해져 .. 2018. 8. 10.
애산해전(崖山海戰): 송나라의 비장한 최후 글: 강생연(姜生淵) 1279년, 애산(崖山), 바다에서 파도는 거칠었고, 바닷바람소리는 드높았다. 좌승상 육수부(陸秀夫)는 처자식이 울고불고 하는데도, 그들은 바다로 밀어넣었다. 그 후에 몸을 돌려 나이 겨우 7살 된 송회종(宋懷宗)에게 말한다: 나라가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폐하는 마땅.. 2017. 10. 1.
진교병변(陳橋兵變)의 또 다른 버전 글: 장효민(張曉珉) 진교병변이라는 이 사건은 후인들이 최대의 정치적업적이라고 반복해서 얘기한다. 조광윤이 왕조를 바꾸어서 새로운 왕조를 개창한 것이 아니라, 이 황제는 부하를 통제하고, 기존질서를 바꾸지 않아서, 백성들이 전란의 고통을 겪지 않도록 해주고, 이를 통하여 문.. 2016. 3. 2.
[황자쟁위술] 광결붕당술(廣結朋黨術) 교장외위패(交將外圍牌) 병법에 이런 말이 있다: “장수는 밖에 나가 있으면, 군왕의 명도 받들지 않을 수 있다(將在外而君命有所不受).” 이는 봉건시대에 지방에 주둔하며 병사를 거느리는 장수의 권한은 공공연히 황제의 명에 항거할 수 있을 정도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당나라때가 최전성기인데, 그때의 지.. 2015. 8. 25.
[황자쟁위술] 무장탈위술(武裝奪位術) – 시살부형패(弑殺父兄牌) 송명편 송나라를 건국한 송태조 조광윤은 960년 진교병변(陳橋兵變)으로 황제에 오른 후 17년간 황제로 지내다가, 976년 십월 십구일 밤에 갑자기 사망하는데, 그가 병을 앓았다는 기록은 없다. <송사>에는 그의 죽음을 아주 간단하게 기록하고 있다: “황제께서 만세전에서 붕어하시니 나이 .. 2015. 8. 6.
"황포가신(黃袍加身)"의 세 가지 의문점 글: 문재봉(文裁縫) 현덕7년(960년) 정월 초나흘, 역사상 그 이름도 유명한 "진교병변, 황포가신"의 이야기가 마침내 서막을 연다. 사마광의 <속수기문(涑水紀聞)>은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바로 이날 새벽, 아직 꿈속에 있던 조광윤은 그도 무슨 일인지 모르는 사이에, 한 무리의 사람들.. 2015. 6. 16.
부언경(符彦卿): 세 딸이 황후에 오른 송나라 명장 글: 이자지(李子遲) 부언경(898-975), 자는 관후(冠侯), 완구(宛丘, 陳州라고도 부름. 지금의 하남성 회양) 사람. 오대 및 북송초기의 명장. 일찌기 여러번 요나라군대와 전투를 벌임. 무장세가출신으로 조부는 오왕(吳王) 부초(符楚), 부친은 진왕(秦王) 부존심(符存審, 일명 李存審, 이극용의 .. 2015. 1. 18.
관취도은자(灌醉掏銀子): 배주석병권의 후속 마무리 조치 글: 진사황(秦四晃) 대송 초창기, 송태조 조광윤은 한고조 유방과 같은 문제에 부닥친다. 바로 어떻게 공고위중(功高威重)의 장군들을 관리단속하여, 새로 얻은 황권에 위협이 되지 않게 하느냐이다. 당연히, 이때, 역사는 다시 천년이 흘렀다. 화하의 일들도 많이 변했다. 대송황제는 대.. 2014. 4. 4.
송나라 조정의 대결전: 조보(趙普)와 노다손(盧多遜) 글" 황작비비(黃雀飛飛) 조보는 송나라의 제일재상이다. 그의 출신배경에 대하여 사서에 기록된 것은 거의 없다. 다만 명문거족이나 서향문제(書香門第) 출신이 아닌 것만은 확실하다. 관련 사료를 보면, 조보는 진교병변의 주요 기획자이니, 족지다모(足智多謀)하고 공헌이 탁월하다고 .. 2014.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