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258 동탁(董卓) : 진정한 충신 경극에서의 동탁 작자: 미상 삼국을 보면, 연의(演義)이든 사서(史書)이든, 한영제(漢靈帝)는 한헌제(漢獻帝)를 좋아했고, 황위를 그에게 넘겨주려고 했다. 이를 위하여, 한영제는 여러가지 조치를 취했는데, 헌제를 동태후(董太后)에게 맡겨서 보살피게 하였고, 죽기전에 금군을 관장하는 태감(太監)에.. 2008. 6. 10. 조조의 곤설(袞雪) 건안12년(215년) 7월, 조조는 양평관(陽平關, 지금의 면현)에서 장로(張魯)형제를 물리친 후, 한중(漢中)에서 5개월여를 머문 적이 있다. 이때 유람차 포곡(褒谷)의 경치를 구경한 적이 있다. 이날, 날씨는 좋고, 하늘은 높았고, 들꽃은 향기로왔다. 조조는 문무관리, 시종 30여명을 이끌고, 화촌(花村, 지금.. 2007. 6. 13. 조조는 과연 여백사(呂伯奢)를 죽였는가? <<삼국연의>>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조조가 동탁을 찔러죽이려다 성공하지 못하자, 단기로 낙양을 빠져나와 고향인 초군으로 달려간다. 길가던 도중에 중모현에서 체포되는데, 현령인 진궁(陳宮)이 조조의 충의를 흠모하여, 관직을 버리고 함께 도망친다. 두 사람은 성고(成皋)고 가서, 조조.. 2007. 3. 21. 조조(曹操)의 부인들 조조에게는 처첩이 매우 많았다. 그중 성씨(姓氏)를 아는 사람이 15명이다. <<무문세왕공전>>의 기재에 따르면 그 중의 13명의 부인이 25명의 아들을 낳았다: 변황후(卞皇后) : 비(丕), 창(彰), 식(植), 웅(熊) 유부인(劉夫人) : 앙(昻), 삭(鑠) 환부인(環夫人) : 충(沖), 거(據), 우(宇) .. 2007. 3. 20. 제갈량의 융중대(隆中對) 글: 오가상(吳稼祥) 여러해 전에, 필자는 책 한권을 쓴 적이 있다. 그 책의 첫머리에, 필자는 헤밍웨이의 "빙산창작이론"을 언급하고, 이로써 어떤 논저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 적이 있다. 헤밍웨이은 자기의 생활경험에 근거하어 글을 쓸 때 이렇게 말했다: "나는 항상 빙산의 원리로 글을 쓰려고 했다" ".. 2007. 3. 11. 삼국시대에 위(魏)에 대항한 주력은 오(吳)인가, 촉(蜀)인가. 1. 누가 위나라에 대항한 주력인가? 삼국시대에 위나라가 강하고, 오, 촉은 상대적으로 약했다. 그래서 삼국정립의 전제는 오촉이 연합하여 위에 대항하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오촉 양국중 누가 더 많이 위나라에 대항하는데 공헌하였는가? 아래에는 그 사실을 보여준다. 제1단계: 208-219 208년: 적벽대.. 2007. 1. 5. 이전 1 ··· 39 40 41 42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