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조258

역사상 진실한 사마의는 얼마나 악독했을까? 글: 아시삼갑제사명(我是三甲第四名) 1. "본제생가(本諸生家), 전례래구(傳禮來久)" 진무제 사마염은 즉위후에 조서를 내려 자신의 가족이, "본제생가, 전례래구"라고 말했다. 이것은 과장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사마씨가족은 명문거족이기 때문이다. 중국고대의 개국황제는 자신의 칠.. 2017. 8. 13.
삼국의 지장(智將) 랭킹 글: 무릉산인(茂陵散人) 인터넷에서 삼국에 관한 글들을 많이 보면서, 스스로의 견해도 말하고 싶어졌다. 이 랭킹은 정사(正史)만 고려한 것이고, 삼국연의는 고려하지 않았다. 만일 연의를 고려한다면 제갈량이 당연히 랭킹 1위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정사를 보면, 필자의 생.. 2017. 8. 6.
공성계(空城計)로 사마의는 제갈량에게 패했을까? 글: 문재봉(文裁縫) 고전명저 <삼국연의> 소설에서 전반부의 클라이칵스는 "화소적벽(火燒赤壁)"이고, 후반부의 클라이막스는 "육출기산(六出祁山)"이다. 제갈량이 육출시간할 때, 신기묘산의 공명선생은 강대한 적수를 만난다. 그의 복성은 사마(司馬)이고 단명은 의(懿)이다. 하남 .. 2017. 7. 29.
사마의(司馬懿) vs. 제갈량(諸葛亮) (2) 3. 사마의는 제갈량보다 시기를 기다릴 줄 알았다. 일대위인 모택동은 이렇게 말했다: "일이 어렵고 쉽고는, 일이 큰지 작은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기에 있다; 시기가 되지 않으면 헛수고이고 아무런 득이 없다." 제갈량이 어떤 목적에서 북벌을 하였건, 그가 발동한 시기는 심각하게 잘.. 2017. 7. 22.
사마의(司馬懿) vs. 제갈량(諸葛亮) (1) 글: 망정(忘情) 1. 들어가는 말 현재 인기리에 방영중인 <대군사 사마의의 군사연맹>은 다시 한번 사마의와 제갈량중 누가 더 대단한지에 관한 논쟁에 불을 붙였다. 본인은 과거에 졸문 <제갈량, '지성'이라는 허명만 가지고 있다>는 제목의 글을 쓴 바 있다. 이제 핫이슈를 놓고 논.. 2017. 7. 22.
대교(大喬), 소교(小喬)는 교현(橋玄)의 친딸들인가? 글: 정순방(鄭純方) 후세에 널리 알려지기로는 동한말기의 강동미녀 대교, 소교는 한나라의 태위(太尉) 교현의 딸이라는 것이다. <삼국연의>도 그렇게 써서 거의 정설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이는 실로 잘못 전해진 것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하여 이렇게 잘못 전해진 것일까? .. 2017.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