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화하서양16

정화하서양(鄭和下西洋)의 최종목적은 무엇인가? 글: 왕약곡(王若谷) "정화하서양"에 대하여 두 가지 완전히 다른 평가가 있고, 서로 격렬하게 대립하고 있다. 도대체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필자의 생각으로는 정화하서양에 대하여, 무조건적으로 찬양하고 긍정하는 것이든, 아니면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비판하는 것이든 둘 다 적합하지 않다고 본.. 2009. 1. 10.
정화(鄭和)는 어떻게 해적을 소탕했는가? 글: 촉인삼지안(蜀人三只眼) 명나라 영락연간(1403-1424), 명나라의 국력은 날로 강성해졌다. 경제실력, 조선기술, 항해경험이 모두 대규모의 항해활동을 벌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했다. 황제 주체는 웅심장지를 지니고 있었다. 그는 명나라초기의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대외정책에 만족하지 못했고, 다른.. 2008. 12. 25.
정화하서양(鄭和下西洋)의 일곱가지 수수께끼 글: 유가(劉可), 후건미(侯健美) 600여년전에, 정화는 명성조 영락제 주체의 명을 받아, 200여척의 선박과 27,000여명으로 구성된 방대한 함대를 이끌고, 강소 태창(太倉) 유가항(劉家港)을 떠나 바다로 갔다. 이로써 서양(西洋, 지금의 말라카해협 서쪽)을 7번이가 항해하는 쾌거를 이룬다. 그러나, 관련사.. 2007. 3. 30.
명나라 건문제(建文帝) 주윤문(朱允炆)의 행방에 얽힌 수수께끼 명나라 건문 4년(1402년) 6월, 연왕의 군대가 남경성을 진입했다. 정난지역(靖難之役)은 연왕(燕王) 주체(朱棣)의 승리로 끝이 났다. 주체는 황제위에 올랐고, 바로 명성조 영락제가 그이다. 주체는 주원장의 넷째아들이며, 모략이 뛰어났고, 용감했으며 전쟁에 능했다. 원제국을 멸망시키는 전쟁.. 2007.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