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지룡13

정성공(鄭成功) 죽음의 미스테리 글: 문재봉(文裁縫) 정성공은 복건성 남안 사람이다. 명나라 융무제는 그에게 주(朱)씨성을 하사했으며, 이름은 "성공"이다. 그러므로, 후세인들은 그를 가리커 "국성야(國姓爺)"라고 불렀다. 정성공의 부친인 정지룡(鄭芝龍)은 초기에 무역도 하고 해적질도 했다. 나중에는 관직이 .. 2012. 1. 13.
명나라후기의 해양정책 글: 유앙(劉仰) 포르투갈인들이 중국해안선에 출현함으로서 조성된 첫번째의 사상유례없는 영향은 바로 중국정부가 해외상인등의 행동범위를 제한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포르투갈인들이 중국으로 오기 전에, 중국정부는 기본적으로 해외상인들에 대하여 엄격한 관리감독조치를 취하지 않았었다. .. 2009. 3. 3.
중국역대 5대 해적 글: 환구시보 중국에서 해적은 대부분 연해지역의 주민이다. 그들은 해양에 의지해서 살아가고 약탈활동에 종사했고, 어떤 경우는 관부와 토호에 대항하기도 했다. 그들은 해도(海盜), 해적(海賊), 해구(海寇), 양비(洋匪), 도구(島寇), 녹객(綠客)등으로 불리웠다. 손은(孫恩): 해적의 조사(祖師) 동진말.. 2008. 11. 21.
일본은 왜 정성공(鄭成功)을 민족영웅으로 받드는가? 글: 조후(曹煦) 명나라말기의 장수인 정성공은 네덜란드의 손에서 대만섬을 수복함으로써 중국에서 "민족영웅"으로 불리우고 있다. 그런데,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는 일본에서도 그를 역시 "민족영웅"으로 모시고 있다. 대만에는 청나라때 건립한 정성공을 모시는 연평군왕사(延平郡王祠)가 있는데, .. 2007. 7. 5.
중국역사상의 흑인용병 용병은 국가나 민족의 이익을 위하여 싸우는 것이 아니라, 보수를 얻기 위하여 싸우며, 어느 국가나 민족에든 고용될 수 있는 직업군인을 말한다. 이는 많은 나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중국에서도 명, 청이래로 중대한 전쟁에서 외국용병의 그림자를 볼 수 있다. 이 용병들 중에서 흑인용병.. 2007. 2. 15.
청나라의 한족출신 왕공(王公) 1. 평서친왕(平西親王) 오삼계(吳三桂) (1612-1678) 자는 장백(長伯)이고, 강소 고우 사람이다. 요동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오양(吳襄)이고, 숭정제때 금주총관을 지냈다. 이자성의 농민군이 북경에 가까이 올 때, 오삼계는 요동총병관이었다. 숭정제는 그에게 평서백(平西伯)의 작위를 내리고, 북경을 보위.. 2007.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