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연지맹14

서하(西夏)개국황제는 왜 3가지 성(姓)을 가졌는가? 글: 몽광정우(夢光情雨) 11세기초인 1004년, 송,요 두 나라는 유명한 '전연지맹"을 맺는다. 당말의 '안사의 난'이후 계속하여 전란이 끊이지 않았던 중국의 북방지역에 드디어 평화의 기운이 돌게 된 것이다. 중원을 점거한 북송왕조는 태평성대를 누렸고, 모든 것은 완벽했다. 더 이상 재난.. 2012. 8. 15.
조이용(曹利用): 권신(權臣)의 최후 글: 안건회(晏建懷) 조이용이 가장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일은 송(宋)나라를 대표하여 요(遼)나라와 전연지맹(澶淵之盟)을 체결하면서 최후의 양보선을 잘 지켜내는데 사명을 욕되게 하지 않아, 전쟁으로 도탄에 빠질뻔한 북송왕조를 구해냈다는 것이다. 경덕원년(1004년) 요성종 야율.. 2012. 6. 27.
왕흠약(王欽若): 모함도 기술이다 글: 안건회(晏建懷)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하늘에서 떡이 괜히 떨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통상 발탁되는 사람들을 보면 다 어떤 원인이 있다. 인간관계를 잘 맺었거나, 재능이 출중하거나, 혹은 조상이 덕을 쌓았거나, 조정내에 아는 사람이 있거나, 돈을 많이 썼거나, 아부를 .. 2012. 1. 11.
북송명상 구준(寇準): 왜 군자와 소인이 모두 그를 싫어했는가? 글: 백가강단 정위(丁謂)가 영신방(佞臣榜)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단지 한 사람때문이다. 그는 바로 역사에 명성이 자자한 구준 대인이다. 그들간의 인연은 단지 사소한 한 가지 사건이었다. 그것은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유수(溜鬚)"사건이다. '유수사건'에 관하여, 사서에는 .. 2011. 12. 8.
전연지맹(澶淵之盟)의 진실 작자: 미상 전연지맹은 중국에서 실패한 정책으로 일관되게 지적받아온 사례이다. 기존의 역사서에서는 일치하여 송나라는 거란(요)을 소멸시키지 못했을 뿐아니라, 전연지맹에서 요나라정권을 승인하고, 또한 "세폐(歲幣)"를 지급하는 선례를 남김으로써, 양송(북송 및 남송)의 쇠약을 가져와서, 국.. 2008. 7. 16.
소태후(蕭太后) : 거란의 흥성 아름답고 총명한 소작(蕭綽), 아명은 연연(燕燕)이며, 16세에 황후가 되었고, 29세때 태후가 되었다. 그녀는 요(遼)나라의 소태후시대를 열었다. 그녀의 통치하에, 요나라는 전성기를 맞이하며, 북송과 유명한 전연지맹(澶淵之盟)을 맺었다. 요나라의 황후는 대대로 소씨집안에서 나왔다. 10세기때.. 2008.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