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백찬6 오함(吳晗): 평생 중공에 충성하였으나, 중공의 감옥에서 죽은 어용학자 글: 진뢰(秦雷) 오함(吳晗)은 청빈한 집안 출신으로 자신의 근면함과 노력으로 호적(胡適)에게 인정을 받아, 1931년 청화대학 사학과에 합격하고, 1934년 청화대학을 졸업한 후 학교에 남아 교편을 잡는다. 재능이 출중하여 1937년에는 겨우 28살의 나이로 운남대학 교수로 채용된다. 1940년 오함은 서남연대(西南聯大)로 옮겨 교수가 되고 그때부터 공산당과 접촉하게 된다. 오함의 부인 원진(袁震)은 중공원로 동필무(董必武)의 제자이고, 두 사람은 함께 중경으로 가서 동필무를 만난 적도 있다. 1943년 7월, 오함은 곤명(昆明)에서 중국민주동맹(中國民主同盟)에 가입하고, 공산당이 조직한 "서남문화연구회"등에서 활동하면서, 완전히 호적의 "독서구국(讀書救國)"론을 포기하며 중국공산당의 지도를 받으며, .. 2023. 2. 25. 마르크스주의역사학자 전백찬(翦伯贊)은 문혁때 왜 자살했을까? 글: 왕우군(王友群) 1968년 12월 19일 심야, 북풍은 사납게 불고, 차가움은 뼈를 찔렀다. 일찌기 중공에서 "저명한 마르크스주의역사학자"라고 불렸던 전백찬은 처 대숙완(戴淑婉)과 옷을 정갈하게 갈아입고 나란히 자신들의 침대에 누워 수면제를 다량 복용하여 자살했다. 다음 날, 사람들은 전백찬이 윗옷 오른쪽 주머니에서 종이조각을 발견한다. 그 위에는 이렇게 쓰여져 있었다: "나는 실로 말할 수 없다. 이런 막다른 길로 가게 되었다. 내가 이 막다른 길로 간 것을 두사부(杜師傅)는 전혀 모른다." 두사부는 전백찬 부부의 감시감독을 책임지고 있던 은퇴노동자이다. 그리고 전백찬의 윗옷 왼쪽 주머니에서는 또 다른 종이조각이 발견되는데, 거기에는 "모주석만세. 모주석만세. 모주석만세"라고 쓰여져 있었다. 전백.. 2020. 8. 25. 황건적의 난 이후의 5년(1): 의의 글: 낙극(洛克) 장각(張角)이 이끄는 '황건적의 난"은 난을 일으킨 해에 동한정권에 의하여 진압된다. 이 점에 있어서 이전 두 왕조말기의 농민의거와는 확실히 다르다. 진말과 서한말기(정확히 말하면 왕망의 신말기)의 농민의거는 모두 난이 일어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원래의 정권이 .. 2014. 12. 12. 중국고대에 "농민의 난"은 존재하지 않았다. 글: 양진도(楊津濤) 사학계에서는 "농민의거"의 성격규정과 평가에 대하여 이견이 존재해 왔다. 절대다수의 사람은 "농민의거"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을 것이다. 진승, 유방, 주원장, 이자성의 이야기도 귀에 익숙할 것이다. 1949년이후의 중국통사에서 "농민의거", "농민혁명"의 내용은 오랫.. 2013. 12. 22. 북대(北大)와 문혁(文革) 글: 임휘(林輝) 중공고위층 강생(康生)의 지시를 받아, 1966년 5월 25일, 북경대학 철학과 당지부서기인 섭원재(聶元梓)가 앞장서서 '전국최초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대자보'를 붙였다. 그 후, 이 대자보는 모택동의 지지를 받게 되고, 문혁이 북대, 북경 및 전국에서 기세등등하게 전개된.. 2012. 7. 9. 모택동은 위구르혈통인가? 글: 양기창(楊其昌) 서역 Vighur는 고대 중국인들이 "회호(回胡)"(이 두 글자는 고대나 오늘날 남중국방언에서는 모두 Wei Wu-웨이우-라고 읽는다)라고 불렀다. 이 글자의 근원은 몽골어계의 "실위(室韋)", "호랍이(呼拉爾)"에서 유래하는데, 그 뜻은 '연맹(聯盟)'이다. '회호'는 고대 중국인들이 .. 2012. 7.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