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풍18 순친왕부(醇親王府): 2명의 황제, 1명의 섭정왕을 배출한 청나라 최고의 왕부 글: 소태양(小太陽) 청나라의 순친왕부에서는 일찌기 2명의 황제, 1명의 섭정왕을 배출했으니, 청말 수십년의 역사에서 최고의 왕부라 할 수 있다. 그 기세와 씀씀이는 다른 왕부를 훨씬 넘어섰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순친왕부의 씀씀이를 통해서 우리는 개략 청말제일왕부가 도대체 어떻게 생활했는지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1. 순친왕부의 출현 만청입관(滿淸入關, 청나라가 산해관을 넘어 베이징에 자리잡다)후, 더 이상 명나라의 제도와 같이 왕실을 전국각지에 분봉(分封)하지 않았지만, 황실내에 여러 왕야(王爺)를 분봉한다. 그들이 획정한 엄격한 등급제도를 보면, 여러 작위들 중에서 오직 친왕(親王)과 군왕(郡王)의 부저(府邸, 집)만을 "왕부"라 부를 수 있었다. 그보다 아래 등급인 패륵(貝勒), 패자(貝子).. 2022. 11. 17. 마지막 황제 부의(溥儀)의 7명 여동생 글: 장생전(張生全) 부의는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다. 비록 어린 나이에 망국의 군주가 되었지만, 특수한 신분으로 계속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그에게 7명의 여동생이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들 여동생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1. 첫.. 2019. 5. 15. 강희장(江希張): 10살때 총통의 막료가 된 민국제일신동 글: 역사백가회(歷史百家匯) 강희장은 광서33년(1907년) 정월 초이틀에 산동성 제남 남력성현 강가장에서 태어난다. 부친 강종수(江鍾秀)는 농민출신으로 20년간 힘들게 공부하여, 어느 정도 성취를 이룬다. 그는 제남의 성수묘(星宿廟)에 의학(義學)을 세운다. 그리고 <공맹도가>, <흥.. 2019. 2. 12. 서태후의 사망을 전후한 시기의 후계다툼 글: 사우춘(史遇春) 동한때 반고의 <한서> 권87상 <양웅전(揚雄傳)> 제57상에는 양웅의 <반이소(反離騷)>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있다. <반이소>에는 이런 문구가 있다: "정경미여추국혜(精瓊靡與秋菊兮), 장이연부천년(將以延夫天年); 임멱라이자운혜(臨汨羅而自隕兮), 공일.. 2018. 11. 16. 강유위(康有爲): 진실한 강유위 글: 창해일속(滄海一粟) 이런 사람이 있다. 그의 이름은 일찌기 의무교육단계의 역사교과서에 나온다. 그를 언급할 때면 그가 '공거상서(公車上書)', '무술변법(戊戌變法)'을 주재했다고 여긴다. 모든 사람은 그를 큰스승으로 여긴다. 국학대사(國學大師) 그 자신도 자기를 그렇게 생각했.. 2018. 8. 1. 서태후는 자신이 죽은 후의 일을 어떻게 안배했는가? 글: 중천비홍(中天飛鴻) 자희(慈禧), 만주족. 예허나라씨. 안휘 휘냥 지광태도, 증삼등승은공 혜징(惠徵)의 딸. 옥첩(玉牒), 즉 황족족보에 기록된 내용은 이러하다: "예허나라씨. 혜징의 딸" 아명은 난아(蘭兒)이며, 예허나라가족중에서는 그녀가 행아(杏兒)라고 불리웠다. 함풍원년, 즉 1851.. 2018. 2. 1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