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령11

장애령(張愛玲)의 집안내력 글: 유계흥(劉繼興) 절대재녀 장애령의 작품은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장애령의 작품은 속세생활에서 소재를 찾았고, 서방 현대심리분석파의 요령과 중국고전소설의 서사필법을 기묘하게 결합시켰으며, 상상력은 화려하고 풍부하다. 서방학학계에서 중국현대문학연구의 선구자이자 권위.. 2011. 2. 11.
<<색계(色戒)>>와 장애령의 고충 글: 유앙(劉仰) 2차대전에 중국이 승리한 이후, 장애령은 호란성(胡蘭成)의 문제 및 자신과 호란성의 관계에 대하여 정식으로 설명하거나 입장을 나타내려고 하지 않았다. 이점에 대하여 여러 사람들은 장애령이 계속하여 매국노인 호란성을 잊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고, 이는 일부 사람들의 장애령.. 2007. 11. 23.
장애령(張愛玲)의 자화상 중국 근대의 가장 뛰어난 재녀(才女)로 불리우는 장애령(張愛玲)은 일찌기 한 폭의 "자화상(自畵像)"을 그린 바 있다. 그런데, 이 자화상은 통상적으로 보는 자화상처럼 상반신을 그린 것과는 달리, 그저 그녀의 외형만 그리고, 오관과 얼굴모습은 아예 그리지도 않았다. 그저 전지(剪紙)하는 것처럼 금.. 2007. 3. 26.
이홍장: 역사상 가장 억울한 속죄양 작자: 삼호도(三糊塗) 시대가 영웅을 만든다고 얘기들을 한다. 사실 시대는 속죄양도 만들고 있다. 개인적으로 중국역사상 가장 억울한 속죄양은 이홍장을 꼽아야 한다고 본다. 대청제국의 매국노는 단 한 명이다. 그것은 바로 청나라의 실제권력을 한 손에 쥐고 있던 늙은 태후이다. 이.. 2007. 1. 10.
장애령의 세가지 안타까운 일(三大恨事) 장애령이 지은 《홍루몽염(紅樓夢&amp;#39751;)》에 나오는 세가지 안타까운 일 첫째, 붕어에 가시가 많은 것。 둘째, 해당화에 향기가 없는 것. 셋째, 홍루몽이 미완(未完)인 것. 2006.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