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익주12

3건의 사례로 본 제갈량의 "법치" 글: 호각조(胡覺照) 제갈량의 치국에 대하여 자고이래로 평가가 아주 높다. 진수는 <삼국지.제갈량전>에서 이렇게 썼다: "개성심(開城心), 포공도(布公道), 충성을 다하고 이로운 일을 한 자는 원수라도 반드시 상을 내렸고; 법을 어기도 태만히 한 자는 친하더라도 반드시 벌을 주었다.. 2015. 2. 10.
조비는 왜 한헌제를 죽이지 않았을까? 글: 이치아(李治亞) 조비는 한헌제를 몰아내고 한나라로부터 정권을 찬탈했다. 그리고 국호를 위(魏)로 고친다. 그러나 망국지군인 한헌제에 대하여 조비는 비교적 관용하게 대해주었다. 한헌제에게 잘먹고, 잘살게 해주었을 뿐아니라, 산양공(山陽公)에 봉한다. '공'은 당시의 작위인데, .. 2014. 2. 15.
동한말기 가장 유명한 두 백정 글: 이치아(李治亞) 세상의 일은 천차만별이다 같은 직업의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고하의 구분이 있다. 동한말기에 유명한 두 백정이 있다. 시작은 서로 달랐지만, 모두 한때 이름을 떨친다. 그리고 최후도 아주 비슷하다. 그것은 바로 다른 사람에게 목이 잘렸다는 것이다. 이점은 그들에.. 2012. 12. 22.
제갈량의 약점 글: 차옥민(車玉民) 고전문학의 명저 <삼국연의>는 많은 인물들을 생동감있게 그리고 있다. 그중에서도 제갈량은 천고에 보기 어려운 현상(賢相)의 모범이며, 지혜의 화신이다. 대다수의 연구자들은 모두 이를 충분히 인정하고 찬송한다. 그러나, 사람이라면 누구나 약점이 있다. 제.. 2012. 7. 15.
출사표(出師表): 제갈량의 숨은 야욕 글: 호각조(胡覺照) 악비가 쓴 출사표 후세에 더없이 칭송받는 <출사표>는 도대체 무엇을 나타내고 있을까? 이것은 명확히 살펴보아야 할 문제이다. 후세인들의 화려하나 실속이 없는 칭찬의 말을 배제하고, 고요한 마음으로 그 내용을 분석해 보면,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제갈량이 쓴.. 2012. 6. 29.
동한(東漢) 말기에 천하는 몇 개의 주군(州郡)으로 나뉘었는가? 글: 육기(陸棄) 주(州)는 한(漢)나라때의 검찰구이름이다. 부(部)라고도 한다. 동한때 전국에는 모두 1부13주를 설치한다. 주의 아래에는 군(郡), 국(國)을 둔다. 모든 주에는 자사(刺史) 혹은 주목(州牧) 1명을 둔다. 이들은 속군,속국의 관리와 호협의 불법행위를 순찰하고, 탐관오리.. 2012.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