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장97 탕빈(湯彬): 청나라 최초의 문정공(文正公) 글: 서세평(徐世平) 청나라때 문관의 최고시호인 '문정(文正)'을 받은 자는 모두 8명이고, 탕빈이 최초의 인물이다. 그러나, 이력을 보면, 탕빈이 관직은 겨우 예부상서, 공부상서이다. 유통훈(劉統勛), 주규(朱珪), 증국번(曾國藩), 이홍장(李鴻章)등과 같은 등급의 인물이 아니다. 장정옥(.. 2015. 2. 10. 원세개 신변의 구재인(九才人) 글: 장문서(張文瑞) 원세개 일생의 영욕훼예(榮辱毁譽)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견해들이 있다. 죽은지 백년이 지났는데도 아직 정설이 없다. 원세개의 일생을 살펴보면 그의 도덕이나 문장은 제외하고라고 한 일은 적지 않다. 일을 하려면 사람이 필요하다. 사람을 쓰려면 먼저 사람을 알아.. 2015. 1. 14. 장애령(張愛玲)과 호란성(胡蘭成) 글: 이치아(李治亞) 민국(民國) 재녀(才女) 가운데 가장 개성이 있는 사람은 장애령이다. 출신이 고귀할 뿐아니라(이홍장의 외손녀), 연애도 상당히 요란스럽게 했다. 당연히 장애령의 애인은 소위 정파인물이 아니다. 그러나 이것도 장애령이 한때 열애에 빠지는 것을 막지는 못한다. 지.. 2014. 10. 24. 하장령(賀長齡): 좌종당(左宗棠)을 키워준 인물 글: 기련해(紀連海) 중국역사상 소인물들이 대인물의 배후에서 밀어주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양발(梁發)과 임칙서, 홍수전의 관계가 그것이다; 그리고 일부는 대인물이 또 다른 대인물의 배후에서 밀어준 경우도 있다. 그것이 바로 오늘 우리가 얘기할 내용이다: 좌종당은 누가 키워.. 2014. 9. 8. 증국번의 부친은 어떻게 아들을 가르쳤는가? 글: 나일영(羅日榮) 증국번에 대하여는 낯설지 않을 것이다. 그는 청말의 "중흥4대명신(中興四大名臣)"중 하나이고, "입덕입공입언삼불후(立德立功立言三不朽), 위사위장위상일완인(爲師爲將爲相一完人)"(덕을 세우고, 공을 세우고, 말을 세워 세 가지 불후의 공덕을 이루었고, 스승으로.. 2014. 8. 26. 일본인은 청일전쟁을 어떻게 보는가? 글: 장풍(蔣豊) 세월이 흘러서 다시 갑오년이 되었다. 1894년 청일전쟁(갑오전쟁)이 발발할 때, 일본국민들은 이해를 하지 못했다. 그들은 왜 제자인 일본이 자신의 스승인 중국에 칼을 겨누고 덤벼드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명치대정견문록>의 기술에 따르면, 청일전쟁이 개전되는 초.. 2014. 6. 23.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