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세적6

이경업(李敬業)의 무측천(武則天) 토벌은 왜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되었을까? 글: 엽서도(獵書徒) 이경업(636-684), 일명 서경업(徐敬業). 조주(曹州) 이호(離狐) (지금의 山東 荷澤) 사람. 당나라의 관리, 장수. 개국공신인 사공(司空) 이세적(李世積)의 손자. 재주자사(梓州刺史) 이진(李震)의 아들. 부친이 일찍 사망하였기 때문에, 직접 조부로부터 영국공(英國公)의 작위를 승계하였다. 무측천이 당중종을 폐위시켜 여릉왕(廬陵王)으로 격하시키고, 이단(李旦)을 황제로 세웠다. 그후 이단은 글을 올려 사임을 청하고, 무측천이 임조칭제(臨朝稱制)하게 된다. 684년 구월, 이경업은 동생 이경유(李敬猶), 당지기(唐之奇), 두구인(杜求仁), 낙빈왕(駱賓王)등과 함께 양주(揚州)에서 거병한다. 이경업은 스스로 광복부대장군(匡復府大將軍), 영양주대도독(領揚州大都督)을 칭하며, 근왕.. 2020. 4. 29.
궐특근비(闕特勤碑): 한어와 돌궐어로 전혀 다르게 쓰여진 비문 글: 천지사화군(天地史話君) 유라시아대륙의 북방대지에는 많은 유목민족이 활약했다. 서부는 흉노(匈奴)의 지계(支係)가 동부는 동호(東胡)의 지계가 있었다.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부락과 민족이 상호 융합하면서 전후로 흉노, 선비, 유연등의 민족이 흥기했다. 수당시기에, 돌궐인이 .. 2019. 2. 26.
이치(李治)는 황태자(皇太子) 자리를 그저 주워먹었는가? 글: 역사변연(歷史邊緣) 당태종 정권17년(643년)의 사월, 흘간승기(紇干承基)가 당태종 이세민에게 고발한다. 태자 이승건(李承乾)이 모반을 꾀한다고, 당태종 이세민은 대신을 소집하여, 조사한 후, 흘간승기의 말이 사실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태자 이승건을 폐출시키고, 그를 서인으로 .. 2018. 7. 28.
이적(李績)과 두회공(杜懷恭): 그 장인에 그 사위 글: 모운서(慕雲舒) 당고종 건봉원년 십이월, 명장 이적(李績, 원래 이름은 李世績이나 당태종 이세민의 이름의 '세'를 피휘하여 이적으로 바꿈)은 명을 받아 고구려정벌에 나선다. 요동도행군대총관겸안무대사(遼東道行軍大總管兼安撫大使)가 되어, 당라나장수들은 모두 그의 명을 듣게.. 2018. 3. 15.
이적(李勣)의 충의(忠義)와 원활(圓滑) 글: 진한성(陳漢成) 이적의 충의는 칭찬할만하지만 원활은 취할 수 없다. 그러나 그의 원활은 환경이 어쩔 수 없게 만든 것이고, 부득이하게 취한 보신책이다. <수당연의>를 보면, 서무공(徐茂公)은 일을 귀신처럼 예측하고, 머리를 잘 쓴다. 지다성 오용과 같은 역할이다. 그러나, 이.. 2012. 8. 15.
당태종 이세민의 공신들... 능연각(凌烟閣)은 원래 당나라 황궁내의 삼청전의 옆에 있는 조그만 각루였다. 정관17년2월 당태종 이세민은 그와 함께 천하를 얻는데 공을 세웠던 공신(몇명은 이미 죽었고, 남은 사람들도 대부분은 나이가 들었다)을 그리는 의미에서, 사람들에게 명하여 능연각내에 24명의 공신의 화상을 그리도록 .. 2006.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