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185 순욱 vs 곽가: 누가 조조의 제일모사인가? 글: 섭지추(葉知秋) 곽가(郭嘉)가 사망한 후, 조조(曹操)는 매우 비통해한다. 친히 곽가의 집으로 가서 조문을 한다. 그리고 공개적으로 말한다: "천하를 평정하는데 (곽가)의 모공(謀功)이 높았다." 곽가의 죽음에 대하여, 성격이 교활하고 편협한 조조마저도 비탄에 빠져서, "슬프구나 봉.. 2016. 5. 17. 진멸한(秦滅韓): 진나라 천하통일의 시작 글: 왕욱기(王昱祺) 역사상 한 가지 오해가 있다. 진시황의 천하통일이 탄탄하기 그지없는 기초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마치 진시황이 왕전에게 수십만의 병력을 딸려서 보내기만 하면 실타래가 풀리듯이 순조롭게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사실상 진시황의 위대한 점은 육.. 2016. 5. 5. <삼국연의>의 일기토방식은 진짜인가? 글: 대상공회(大象公會) <삼국연의>의 문학적 묘사에는 과장된 부분이 있다. 그러나, "무장일기토"라는 장면은 역사적으로 실제 존재했었다. 청나라때의 고증대가는 사적, 필기에 기재된 무장의 일기토에 관하여 정리한 바 있다. 왕완정(王阮亭)이 <지북우담(池北偶談)>에서의 내.. 2016. 5. 1. 한신은 도대체 모반을 했을까? 글: 조성명(曹聲明) 한신은 중국역사상 대명이 자자한 대군사가이다. 유방은 일찌기 그가 자신이 천하를 얻는데 세운 공로를 높이 평가한 바 있다: "백만대군이라 하더라도 싸우면 반드시 이기고, 공격하면 반드시 함락시킨다. 이 점은 내가 한신보다 못하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 한신.. 2016. 3. 23. [황자쟁위술] 차도살인술(借刀殺人術) 승기타겁패(乘機打劫牌) 유장편 황위승계를 노리는 황자는 시시때때로 기회를 노리면서, 스스로에 대한 경계를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한편으로 현덕(賢德)하다는 것과 군주의 풍도를 보여 부친이 자신에게 안심하고 권력을 넘겨줄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 이목을 여러 곳에 심어서 부친 정책의 문제점을.. 2015. 11. 1. [황자쟁위술] 무장탈위술(武裝奪位術) 청군측패(淸君側牌) 오초칠국의난 중국 역대의 반란에서 명분으로 가장 자주 등장하는 것을 꼽는다면 단연 “청군측”이다. 즉, 황제의 곁에 있는 소인/간신을 없애겠다는 것이다. 물론, 거병의 목적이 단순히 소인/간신만 제거하는 경우도 있을 수는 있지만, 대부분 거병의 목적은 황위를 차지하는 것이다. 다만, 거병시 .. 2015. 10. 18.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