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18 월남역사상의 반중국정서 글: 복녕객(福寧客) 중국인에 있어서 월남에서 역사박물관을 참관하는 것은 특이한 체험을 하는 것이 된다. 기원전3세기부터 18세기까지 거의 모든 전람실에는 안내원이 자랑스럽게 각국의 관광객들에게 월남인민이 "중국침략자'에 항거한 영웅적인 사적을 각국에서 온 관광객들에게 설.. 2014. 4. 29. 호춘향(胡春香): 월남의 재녀 글: 결진(潔塵) '독수시재수각(讀首詩再睡覺)'이라는 위챗의 공중사이트를 구독하여 수시로 골라보고, 듣고 있다. 이 공중사이트의 성우중 두 명은 나의 친구이다. 닝위안(寧遠)과 쉬리루(徐哩嚕). 이곳의 소위 성우는 낭독자이다. 전에 청두에서 시가에 관한 공익강좌활동인 "시가.. 2014. 4. 4. 근대중일교섭: 시기, 교훈 및 보완 글: 마용(馬勇) 중일관계는 당금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양국관계이다. 더구나 아시아의 가장 중요한 양국관계이다. 중일협력, 아주단결, 안정은 바로 세계의 안정이다. 중일충돌, 아주혼란은 바로 세계의 불안정이다. 이는 과거 근 이백년역사가 이미 증명한 사실이다. 상호불신의 연유 만.. 2013. 4. 16. 중국과 월남문화 글: 임해(林海) 월남은 어디에 있는가? Marguerite Duras의 붓끝에 쓰여진 메콩강의 풍광인가? 아니면 영웅영화의 속에 끼어있는 삼륜거의 인력거꾼인가? 미국영화에 나오는 숲 속에 숨어있는 전사인가? 아니면, 폐쇄된 공산주의국가의 모습인가? 마치 그 모든 것인 것같기도 하고, 모든 것이 아닌 것같기도.. 2008. 10. 5. 일본인들이 사용하는 "지나(支那)"의 의미 글: 임사운(林思雲) 일본인들이 "지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중국을 멸시하는 의미가 담겨 있는지? 이것은 최근에 아주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다. 신랑망(新浪網)이 "Sina.com"이라는 웹사이트명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일부 중국의 애국인사들의 성토대상이 된 적이 있다. 그러나 "지나"라.. 2007. 1. 28. 명나라때 월남의 독립투쟁 1. 월남의 명나라 점령이전 역사 968년, 정부령(丁部領)는 정조(丁朝)를 건립한다. 이것은 월남에 세워진 첫번째 왕조였다. 13년간 재위(968-980)하였다. 979년에 정조는 왕위계승문제로 궁중변란이 일어났고, 정조의 대장군인 여환(黎桓)이 정부령의 아들인 정경(丁敬)을 즉위하게 하고는 자신이 권력을 장.. 2006. 11. 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