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기12 진나라의 굴기 글: 이중천(易中天) 진나라의 굴기는 확실히 변법에서 시작된다. 그런데 변법은 어쩔 수 없이 몰려서 하게 된 것이다. 이 점은 진효공이 그의 "구현령(求賢令)"에서 분명하게 말한다: 그의 말에 따르면, "제후들이 진나라를 비천하게 여긴다. 추악하기 그지없다." 그리하여 누구든지 "기계(.. 2014. 4. 29. 숙손통(叔孫通): 진나라 비인기학문 선생이 한고조를 따라 창업하다. 글: 광주일보 선진양한(先秦兩漢)은 중국역사상 취업기회가 가장 많았던 시기이다. 왜냐하면 이 시기는 바로 중국의 여러가지 제도가 창립되고 성장한 시기이기 대문이다. 새로운 업무가 계속하여 나왔고, 인재들이 출현하는데 광활한 공간을 제공해 주었다. 외교를 잘 하는 자, 전투를 .. 2014. 1. 15. "세 명의 총잡이" 이론과 전국칠웅의 쟁패 글: 과학송서회(科學松鼠會) 이렇게 가정해보자. 두 명의 총잡이 갑과 병이 있다. 그들이 생사결투를 벌이는데, 갑의 사격술을 비교적 정확하여 명중률이 80%이다. 그러나, 병의 사격술은 떨어져서 명중률이 겨우 40%에 불과하다. 만일 두 사람이 일정한 거리를두고 동시에 상대방을 향하여.. 2013. 8. 15. 컨센서스: 진나라의 상앙변법 글: 왕립군(王立群) 컨센서스는 국가방침대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하다. 중국역사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진시황이 육국을 합병하여 천하통일을 이루게 된 것이 진효공때의 상앙변법때문이라는 것을 안다. 변법이전에 한, 조, 위, 제, 초, 연이 모두 전국시대의 강국이었다. .. 2012. 1. 26. 위(魏)나라는 왜 천하통일의 기회를 잃어버렸는가? 글: 가동(佳桐) 춘추전국의 역사를 읽다보면 위문후(魏文侯) 위사(魏斯)시대의 위나라를 보면 느끼는 바가 많다. 삼국분진(三國分晋)의 초기에 위문후는 현명한 인재를 널리 기용했다. 자하(子夏), 전자방(田子方)을 스승으로 모시고, 이리(李悝), 적황(翟璜)을 재상으로 삼고, 오기(吳起), 악양(樂羊)을 .. 2011. 2. 6. 자치통감(資治通鑒): 차마 읽어내려갈 수 없는 잔인함 글: 장풍(蔣豊) 일찌기 위대한 인물인 모택동이 거작 <<자치통감>>을 17번이나 읽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 있다. 비록 마음 속에 약간의 의문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매번 지도자는 일반인과는 다르다고 생각하고 지나갔다. 나도 일찌기 <<자치통감>>을 한번 통독해봐야겠다고 .. 2009. 12. 1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