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초44 청나라말기의 "부전족운동(不纏足運動)" 글: 구양박문(歐陽博文) 무술변법(戊戌變法)은 사람들에게 강유위, 양계초가 요란하게 벌인 일을 떠올린다. 여기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오늘날 사람들이 볼 때는 별 것이 아닌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무술변법은 중국역사상 최초의 근대화 정치개혁이다. 당시 청일전쟁에서 참패한후.. 2014. 10. 2. 장군려(張君勵): 서생 정치참여의 고뇌 글: 장가강(張家康) 장군려(근현대학자, 초기신유학의 대표자중 한 명)의 정치활동과 학술생애는 62년에 달한다. 그의 조예와 영향은 심원하다. 그는 중국이 현대화국가가 되는데 대한 여러가지 구상을 내놓았고, 지금까지도 역사적 현실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무술변법이 실패한 후, 강.. 2014. 10. 2. 증국번의 부친은 어떻게 아들을 가르쳤는가? 글: 나일영(羅日榮) 증국번에 대하여는 낯설지 않을 것이다. 그는 청말의 "중흥4대명신(中興四大名臣)"중 하나이고, "입덕입공입언삼불후(立德立功立言三不朽), 위사위장위상일완인(爲師爲將爲相一完人)"(덕을 세우고, 공을 세우고, 말을 세워 세 가지 불후의 공덕을 이루었고, 스승으로.. 2014. 8. 26. 워싱턴기념탑의 중국비석 출처: <안과유성(雁過有聲): 중미인문교류의 기억> 미국인이 광주(廣州)에 오고나서 십년간, 청나라관리들은 여전히 미국인과 영국인을 구분하지 못했다. 청나라정부는 "외국의 상황에 대하여는 눈을 감고 귀를 막고 알려 하지 않은 상황이 전혀 고쳐지지 않았다." 아편전쟁이 발발한.. 2014. 4. 29. 원세개시대의 언론자유 글: 부국용(傅國涌) 송교인이 졸지에 암살당하고, 새로 탄생한 민국에는 파란이 일었다. 손중산은 무력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선택했고, 금방 원세개의 우세에 밀려 무력으로 패배당한다. 민국의 창업자인 손중산, 황흥은 다시 망명길에 들어선다. 장태염(章太炎)은 북경에 연금되어 있었.. 2013. 12. 22. 강유위(康有爲)의 죽음: 칠규유혈(七竅流血) 글: 동도(同道) - 선생은 오늘날 온 나라사람들이 질시를 받고 있다; 만일 언젠가 20세기 신중국사를 쓴다면, 나는 그 첫페이지에 반드시 선생의 정신,사업을 기술할 것이다. 사회원동력이 시작된 것이다. 선생은 과연 중국에서 시대를 앞서간 인물중 하나이다.(양계초) - 남해 강유위 선생.. 2013. 11. 24.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