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싱가포르23

은행의 "돈가뭄": 정부의 스트레스테스트인가? 글: 섭단(葉檀) 6월에 기준이율인 상해은행간차입이율이 급상승하여, 금융시장은 공황에 빠진다. 필자의 생각으로 이것은 의사결정층이 일부러 취한 스트레스테스트인 것같다. 느슨한 화폐정책은 이미 바닥을 드러냈다. 미국FRB가 QE3에 exit할 것이라는 암시는 국내실체경제의 부진, 주택.. 2013. 6. 26.
리콴유(李光耀)가 말하는 중국의 미래 글: Graham Allison, Robert Blackwill. 중국은 현재 50년전에 상상도 하지 못했던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 내부의 주요한 도전은 문화, 언어, 그리고 다른 나라의 인재를 흡수통합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점점 국가통치구조측면의 도전도 나타나고 있다. 외교업무전문가이건 아니면 국제시장투자.. 2012. 10. 20.
홍콩제조업은 왜 무너졌는가? 글: 낭함평(郞咸平) 임금이 급속히 오르자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서로 다른 발전의 길을 모색한다: 하나는 한국, 타이완, 싱가포르가 걸었던 길로서, 기실 일본과 마찬가지의 길이다; 다른 하나는 홍콩이 걸었던 길이다. 처음부터, 홍콩은 다른 지역보다 운이 좋았다. 왜냐하면 1960년대에.. 2012. 9. 18.
동아병부(東亞病夫): 중국인이 만들어낸 거짓말 글: 왕금사(王錦思) 런던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좋아하는 중국인들은 이제 옛날과 달라진 모습에 희희낙락하고 있다. 그러자 "동아병부"라는 말이 다시 수면위로 떠올랐다. 서방열강들이 예전에 중국을 멸시하며 부르던 말로 다시 반복하여 언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원한은 상대가 있고, .. 2012. 8. 15.
홍콩의 투자이민 문턱은 너무 높다. 글: 시영청(施永靑) 홍콩의 투자이민정책은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하다. 매년 이 경로로 홍콩에 들어오는 사람은 이,삼천명에 불과하여, 형편없이 부족하고, 홍콩의 인구구조에 전혀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 원인을 따져보면, 문턱이 너무 높기 때문이다. 투자금액으로 650만홍콩달러를 요구하는데.. 2007.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