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당서24

정교금(程咬金)의 삼판부(三板斧): 배후의 역사진상 글: 문방장궤(文房掌櫃) 정교금은 , 등 연의소설에서 대명이 자자한 인물이다. 모두 알고 있는 것처럼, 그는 성격이 직설적이고 시원시원하며, 거칠면서도 세심한 복장이다. 그가 사용하는 병기는 일종의 도끼이다. 그의 삼판부로 와강채를 평정한 이야기는 후인들이 즐겨 얘기하는 스토리이다. "정교금삼판부"는 사람들이 입에 달고 다니는 단어가 된다. 일을 함에 있어서 처음에 거창하게 시작하고 절초를 사용해야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연의소설은 어쨌든 정사가 아니다. 많은 장면은 모두 허구로 만들어진 것이거나 과장된 것이다. 정교금(593-665), 역사상 확실히 존재했던 인물이다. 그는 제주(濟州) 동아(東阿)사람이다. 원래 이름은 '교금'이었는데, 나중에 '지절(知節)'로 개명한다. 당나라때의 장수이고 노.. 2021. 2. 19.
양국충(楊國忠)의 부인과 애인 글: 사지동(謝志東) 양국충은 당현종 시기의 유명한 간상(奸相)이다. 그는 양귀비의 먼 친적 오빠이기도 하다. 그러나, 적지 않은 사적에서는 모두 양국충이 양귀비의 언니인 괵국부인(虢國夫人)과 간통했다고 적고 있다. 예를 들어, <구당서.양국충전>에서는 "귀비의 언니 괵국부인은.. 2018. 12. 2.
당나라때의 역법(曆法) 표절사건 글: 냉포역사(冷砲歷史) 오늘은 당나라때 발생한 역법 표절사건을 얘기하면서, 원나라이전에 인도역법이 중국에 미친 영향을 논해보기로 하자. 721년, 당나라조정은 구역법이 너무나 부정확하다고 여겨, 신역법을 제정하여 대체하려 했다. 승려 일행(一行)이 편찬한 <대연력(大衍曆)이 .. 2018. 7. 14.
진경(秦瓊)은 왜 현무문사변에 참가하지 않았을까? 글: 역사변연(歷史邊緣) 현무문사변이 있던 그날 아침, 이세민의 유일하게 돋보이는 장면은 화살 하나로 아무런 방비도 하고 있지 않던 형 이건성을 쏘아죽인 것일 것이다. 그 후에, 아마도 자신의 형이 자기의 화살에 맞아죽는 장면에 너무 흥분해서인지 이세민의 모습은 전쟁터에서 백.. 2018. 6. 5.
중국역사상 이름난 32명의 공주중에서 누가 가장 미인이었을까? 글: 이자지(李子遲) 중국은 수천년의 유구한 문명역사를 지니고 있다. 수백개에 이르는 역대왕조에는 수천에 이르는 황제와 국왕이 있었고, 수만에 이르는 제왕의 딸 즉 공주가 있었다. 그녀들은 금지옥엽이라 부를 만하다. 제왕의 딸로서 온나라의 상하, 백성들 중에서 가장 찬란한 진주.. 2018. 1. 31.
육조수당(六朝隋唐): 중국역사상 제1차 서방천학(西方天學)의 중국유입 글: 강효원(江曉原) 두 개의 개념" "서방"과 "천학" 여기의 '서방'이라는 것은 중국의 서쪽에 있는 광대한 지역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인도,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이 포함된다. 소위 "천학"이라 함은 "천문학"과 약간은 차이가 있다. 비록 "천학"이라는 단어를 고대에도 찾을 수 있고, .. 2017.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