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인종26

송영종: 시정잡배수준의 황제 글: 섭지추(葉之秋) 송영종(宋英宗) 조종실(趙宗實)은 재위기간이 아주 짧았다. 앞뒤를 합쳐서 4년에 불과하다. 4년의 기간동안 절반의 시간은 병치료로 보냈다. 송영종은 병약했는데, 한편으로는 원래 체질이 확실히 허약했기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두려움때문이었다. 송영종은 송인.. 2013. 6. 10.
근정(勤政)은 제왕의 좋은 품성이 아니다. 글: 오구(吳鉤) 만일 중국역사상 3명의 가장 근정(勤政)한 군주를 꼽으라면, 나는 진시황, 주원장 그리고 옹정제를 꼽겠다. <한서>에는 진시황의 근정정도를 기록하고 있다: "궁조문묵(躬操文墨), 주단옥(晝斷獄), 야리서(夜理書), 자정결사(自程決事), 일현석지일(日懸石之一)" 진나라.. 2013. 6. 10.
송영종(宋英宗)은 어떻게 죽었는가? 글: 조염(趙炎) 황제로서 송영종 조서(趙曙)는 행운아였다. 대외적으로, 그의 양부인 송인종은 그를 위하여 좋은 외교적 국면을 물려주었다. 요나라와는 왕래가 잦았고, 서하와도 평화공존하고 있었다. 필자가 통계를 내봤더니, 짧은 4년동안 요나라와 서로 사신을 주고받은 것이 6번에 이.. 2013. 4. 13.
중국인들은 왜 사년(蛇年)을 싫어하는가? 글: 예방육(倪方六) 12지신가운데 사(蛇, 巳)는 아마도 가장 환영받지 못하는 동물인 것같다. 기실 이러한 뱀에 대한 혐오감정은 현대인들만의 것은 아니고, 진한(秦漢)이후 중국고대인들의 마음도 그러했다. 중국고대인들은 심지어 사년을 흉년(凶年)으로 보고, 뱀띠인 사람들은 명이 좋.. 2013. 2. 13.
변혁과 진작: 중국 역대왕조의 개국63년 글: 설이(雪珥) 곤곤장강동서수(滾滾長江東逝水) 도도한 장강은 동쪽으로 흘러가고 낭화도진영웅(浪花淘盡英雄) 물결처럼 일었다 사라지는 영웅들 시비성패전두공(是非成敗轉頭空) 시비와 성패는 모두 헛된 일이 되고 청산의구재(靑山依久在) 푸른 산은 옛 그대로인데 기도석양홍(幾度.. 2012. 10. 1.
조이용(曹利用): 권신(權臣)의 최후 글: 안건회(晏建懷) 조이용이 가장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일은 송(宋)나라를 대표하여 요(遼)나라와 전연지맹(澶淵之盟)을 체결하면서 최후의 양보선을 잘 지켜내는데 사명을 욕되게 하지 않아, 전쟁으로 도탄에 빠질뻔한 북송왕조를 구해냈다는 것이다. 경덕원년(1004년) 요성종 야율.. 2012.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