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통제24 강희장(江希張): 10살때 총통의 막료가 된 민국제일신동 글: 역사백가회(歷史百家匯) 강희장은 광서33년(1907년) 정월 초이틀에 산동성 제남 남력성현 강가장에서 태어난다. 부친 강종수(江鍾秀)는 농민출신으로 20년간 힘들게 공부하여, 어느 정도 성취를 이룬다. 그는 제남의 성수묘(星宿廟)에 의학(義學)을 세운다. 그리고 <공맹도가>, <흥.. 2019. 2. 12. 융유(隆裕): 중국역사상 가장 공헌이 큰 황후 글: 청림지청(靑林知靑) 이전에 나는 융유황후를 좋아하지 않았다. 여러분들도 아마 나와 같은 생각이었을 것이다. 그녀는 얼굴도 못생겼고, 말랐으며 등이 굽었다. 그리고 남편 광서제보다 3살이 많았다. 황후라는 명분은 있으나, 한번도 광서제의 은총을 받은 적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 2019. 1. 23. 서태후는 자신이 죽은 후의 일을 어떻게 안배했는가? 글: 중천비홍(中天飛鴻) 자희(慈禧), 만주족. 예허나라씨. 안휘 휘냥 지광태도, 증삼등승은공 혜징(惠徵)의 딸. 옥첩(玉牒), 즉 황족족보에 기록된 내용은 이러하다: "예허나라씨. 혜징의 딸" 아명은 난아(蘭兒)이며, 예허나라가족중에서는 그녀가 행아(杏兒)라고 불리웠다. 함풍원년, 즉 1851.. 2018. 2. 19. 원고낭(元姑娘): 중국 최초의 여황제 글: 육기(陸棄) 중국역사상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 넘어온 이래로, 부녀의 사회적 지위는 "비류직하삼천척(飛流直下三千尺)"이었다. 천당에서 지하로 떨어진 셈이다. 특히 "부위처강(夫爲妻綱)"의 대에 부녀는 어떤 사회적 지위도 없었다. "시집가기 전에는 부친을 따르고, 시집간 후에.. 2017. 12. 5. 동치제: 허수아비로 산 가장 불쌍한 황제 글: 문재봉(文裁縫) 오늘 이야기할 주인공은 동치제이다. 청나라가 산해관을 넘어온 이후 제8대황제이다. 그는 나이 겨우 19살에 병사하였으니, 단명황제이다. 역사의 긴 강물에서는 아주 짧은 일순간이다. 비록 그러하지만, 동치제는 제왕의 존귀한 몸으로 주목을 받는다. 우리는 그의 인.. 2016. 11. 5. 1949년 신중국 성립이후 중국의 "황제" ㅗ정곤,작자: 미상 모두 알다시피 중국최후의 공인된 황제는 선통제 부의이다. 부의 이후, 원세개 대총총은 복벽하여 황제에 올라 83일간 황제를 지낸다. 그러나 전국백성들에게 욕을 얻어먹다가 결국 우울하게 생을 마친다. 만일 "황제"가 원세게에게서 끝났다고 본다면 그것은 큰 착각.. 2015. 10. 19. 이전 1 2 3 4 다음